퍼센트 포인트
두 백분율(%) 사이의 산술적 차이를 나타낼 때 쓰이는 단위
퍼센트 포인트(percentage point, percent point, pp, %p, %P)는 두 백분율과의 산술적 차이를 나타낼 때 쓰는 단위이다.
예1
편집- '50%에서 60%로 증가하였다'를 표현할 때 다음과 같이 2가지 옳은 방법이 있다. 10%가 증가하였다 등으로 표현하면 틀린 표현이 된다.
- 20%가 증가하였다.
- 10%p가 증가하였다.
- '2%에서 1%로 감소하였다'를 표현할 때 다음과 같이 2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1%가 감소하였다는 틀린 표현이다.
- 50%가 감소하였다. (=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또는 반절로 감소하였다.)
- 1%p가 감소하였다.
예2
편집경제학적 면에서 실업률이 10%라고 하자. 실업률이 4퍼센트포인트 감소했다고 한다면, 이것은 실업률이 이제 6%라는 의미이다. 한편, 실업률이 4퍼센트 감소했다고 한다면 이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 10% = 0.1
- 4% = 0.04
- 감소 = 10%의 4% = 0.04×0.1 = 0.004
- 새 실업률 = 0.1 - 0.004 = 0.096 = 9.6%[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Why Percents and Percentage Points Are Cousins, But Not Twins” (영어).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