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겐도르프 착시

포겐도르프 착시(Poggendorff illusion)는 중간에 놓인 구조물의 윤곽에 의해 중단된 사선(斜線,oblique line)의 나뉜 선들중 한 세그먼트 위치를 잘못 인식하는 기하학적 광학 착시이다. 이것은 1860년 죌너 착시(Zöllner illusion)로 알려진 것에 대해 처음 보고했을 때 요한 프리드리히 쵤너(Johann Karl Friedrich Zöllner)가 물리학 저널(독일어 Annalen der Physik)에 제출한 그림에서 그것을 발견한 저널의 편집자이자 물리학자인 요한 포겐도르프(Johann Christian Poggendorff)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착시의 크기는 가려진 패턴의 속성과 테두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2]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절단'(amputating)하는 것을 포함하여 칙시현상에 대한 많은 자세한 연구는[3][4] 그 주된 원인을 가리킨다. 그림의 예각(銳角,acute angle)은 확대된 것처럼 보이지만[5][6] 착시의 원인이 감소하거나 사라지면 가로선은 수평 또는 수직에서의 사선(斜線,oblique line)이다. 다른 요인도 관련된다고 알려져있다.[7][8]

편집

 
예시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1. Zöllner F (1860). “Ueber eine neue Art von Pseudoskopie und ihre Beziehungen zu den von Plateau und Oppel beschriebenen Bewegungsphaenomenen”. 《Annalen der Physik》 186 (7): 500–25. Bibcode:1860AnP...186..500Z. doi:10.1002/andp.18601860712. 
  2. Westheimer G, Wehrhahn C (1997). “Real and virtual borders in the Poggendorff illusion”. 《Perception》 26 (12): 1495–501. doi:10.1068/p261495. PMID 9616477. 
  3. Day, R.H. (1973). “The oblique line illusion: The poggendorff effect without parallels”.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5 (4): 535–541. doi:10.1080/14640747308400375. PMID 4767535. 
  4. Spehar B, Gillam B J, 1998, "Modal and amodal completion in the Poggendorff illusion" Perception 27 ECVP Abstract Supplement
  5. Weintraub, D.J., Krantz, D.H., & Olson, T. (1980). The Poggendorff illusion: consider all the angles. J. exp. Psychol. Hum Percept Perform., 6 718-725
  6. Morgan M.J. (1999). “The Poggendorff illusion: a bias in the estimation of the orientation of virtual lines by second-stage filters”. 《Vision Research》 39 (14): 2361–2380. doi:10.1016/S0042-6989(98)00243-0. PMC 4213454. PMID 10367057. 
  7. Green R.T.; Hoyle E.M. (1963). “The Poggendorff Illusion as a Constancy Phenomenon”. 《Nature》 200 (4906): 611–612. Bibcode:1963Natur.200..611G. doi:10.1038/200611a0. PMID 14082259. 
  8. Gregory, R.L. (1968). “Perceptual Illusions and Brain Model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171 (1024): 279–296. Bibcode:1968RSPSB.171..279G. doi:10.1098/rspb.1968.0071. JSTOR 75828. 
  • 시지각 심리원리와 디자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 요소별 착시의 유형 및 적용 목적 분석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and Design: Analysis of Types and Purposes of Optical Illusions regarding Design Elements 이정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4권 제6호 2019 73 - 88 (16 pages) KCI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