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적합도
진화 생물학에서, 포괄적 적합도(Inclusive fitness) 1964년 W.D. 해밀턴(William D. Hamilton)이 정의한 진화 성공의 두 가지 지표 중 하나이다.
- -개체 적합도란 개체 자신이 낳은 자손의 수이다.
- -포괄적 적합도는 개체가 자신의 행동을 통해 양육 또는 달리 지원하는 자손 등가의 수이다. (직접 적합도와 간접적합도의 합계)
유성생식에서 이배체생명제(Diploid organism)는 개체 유전자의 절반을 가지고있는 개체의 자녀는 하나의 자손으로 정의된다. 개체 유전자의 (근연도 genetic relatednesss,r)을 운반하는 형제의 자녀는 자손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개체 유전자의 1/16을 가진 사촌의 자식은 1/8의 자손에 해당한다.
해밀턴 공식
편집r:근연도(genetic relatednesss) , B : 도움을 받는 친족(이익) , C :도움을 주는 친족(비용)
해밀턴 공식은 유전자 및 사회행동(Social behavior) 진화의 한 축으로 이타주의가 설정되어 있다는 전제를 친족 선택(Kin selection)의 메커니즘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협동
편집사회행동의 주요한 원리인 협동은 포괄적합도를 유전적으로 진화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포괄적합도는 호혜적 이타행동(Reciprocal altruism)의 설명을 이해하는 주요한 원리를 시사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The Evolution of Cooperation Robert Axelrod and William D. Hamilton ,Science, New Series, Vol. 211, No. 4489. (Mar. 27, 1981), pp. 1390-1396. Stable URL: http://links.jstor.org/sici?sici=0036-8075%2819810327%293%3A211%3A4489%3C1390%3ATEOC%3E2.0.CO%3B2-6 )http://www-personal.umich.edu/~axe/research/Axelrod%20and%20Hamilton%20EC%20198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