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우 마리아

네덜란드 왕국의 상선이자 현재 보물선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배의 모델이기도 하다.

프라우 마리아 호(네덜란드어: Vrouw Maria)는 네덜란드의 상선이자 현재 보물선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배의 모델이기도 하다.

프라우마리아 호

침몰과 그 이후

편집

렘브란트와 같은 네덜란드 거장들의 유명 명화를 구매한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가 이 명화를 설탕, 커피 등과 함께 발트해를 거쳐 러시아 제국으로 운송하는 중 당시 핀란드의 수도 투르쿠에서 폭풍을 만나 수많은 예술적 걸작들이 바다에 묻히면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 후 보물선이라는 이름의 소설에 나오는 배의 모델이 되었다. 최근 핀란드에서 배가 발견되었으나 네덜란드, 핀란드, 러시아 이 3나라가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아직까지도 주인이 판가름 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이 배를 다시 밖으로 올렸을 경우 그 내부에 있는 명화들이 모두 실존할 것인가가 관심거리로 남아있다.

네덜란드의 주장

편집

네덜란드는 애초에 프라우마리아 호는 네덜란드 소유의 상선이었으며 그 안에 있는 예술품들 또한 네덜란드의 거장들이 그린 그림이므로 네덜란드에서 마땅히 프라우마리아 호를 소유할 수 있으며 예술품 역시 네덜란드 측에서 보관해야 한 다고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의 주장

편집

러시아는 과거 러시아 제국의 여왕인 예카테리나 2세가 구입한 예술품이기 때문에 러시아 측에서 문화유산으로서 소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이 예술품들이 경매로 나왔을 때 러시아가 가장 많은 돈을 냈고 이 돈은 예카테리나 2세의 황실자비였다. 그러므로 러시아는 그들이 그 명화를 소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핀란드의 주장

편집

핀란드는 수백년간 본국의 영해에 있었던 프라우마리아 호의 소유권은 당연히 핀란드 당국이 가지고 있으며 다른 잠수부들이 만일의 경우 영해에 침범하여 프라우마리아 호에 접근한다면 무력충돌도 감수할 수 있다는 비교적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