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 계층(영어: presentation layer)은 컴퓨터 네트워크OSI 모형 7계층 가운데 6번째 계층으로, 네트워크의 데이터 번역자로서의 역할을 한다.[1][2] 이따금 문맥 계층(영어: syntax layer, 신택스 레이어)으로도 불린다.[3]

서비스

편집

하위 계층

편집

표현 계층은 두 개의 하위 계층으로 나뉜다. CASE(공통 응용 서비스 요소, common application service element), SASE(특정 응용 서비스 요소, specific application service element)[4]

  • ACSE (Association Control Service Element)[4]
  • ROSE (Remote Operation Service Element)
  • CCR (Commitment Concurrency and Recovery)
  • RTSE (Reliable Transfer Service Element)
  • FTAM (File Transfer, Access and Manager)
  • VT (Virtual Terminal)
  • MOTIS (Message Oriented Text Interchange Standard)
  •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 JTM (Job Transfer and Manipulation) 이전의 OSI 표준 Archived 2020년 2월 20일 - 웨이백 머신
  • MMS (Manufacturing Messaging Service)
  • RDA (Remote Database Access)
  • DTP (Distributed Transaction Processing)

프로토콜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조

편집
  1. Dean, Tamara (2010). 《Network+ Guide to Networks》. Delmar. 44–47쪽. 
  2. Microsoft TechNet
  3. Grigonis, Richard (2000). 《Computer telephony encyclopedia》. CMP. 331쪽.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Hura, Gurdeep (2001). 〈Application Layer〉.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Internetworking》. CRC Press LLC. 710–7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