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근염
질병의 종류
피부근염(皮膚筋炎, dermatomyositis, DM)은 근육과 피부 염증의 특징을 지니는 다발성 근염(PM)과 관련된 희귀한 결합 조직 질환이다. DM이 대체적으로 피부와 근육에 영향을 미치지만 관절, 식도, 허파, 심장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 질환이다.[1]
![]() | |
---|---|
![]() | |
진료과 | 류마티스내과, 면역학, 신경학, 피부과 ![]() |
빈도 | 0.01022% |
증상편집
진단편집
분류편집
피부근염은 전신 결합 조직 질환의 일종으로, 자가면역 기능 장애를 종종 수반하는 질병의 하나이다.[2][4]
병인편집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초기 바이러스 감염이나 암에 의해서일 수 있고, 둘 중 어느 것이라도 자가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2]
치료편집
피부근염에 대한 치유 방법은 없지만 증상은 치료가 가능하다.
역사편집
진단 기준은 1975년에 제안되어 널리 채택되었다.[5][6]
무근육병 피부근염(DM sine myositis)이라는 이름은 2002년에 명명되었다.[5]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Dermatomyositis - eMedicine
- ↑ 가 나 다 Hajj-ali, Rula A. (June 2013).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 Musculo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 Disorders”.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 ↑ Mitchell, Richard Sheppard; Kumar, Vinay; Abbas, Abul K.; Fausto, Nelso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판. Philadelphia: Saunders. 151쪽. ISBN 1-4160-2973-7.
- ↑ “ICD-10 Systemic connective tissue disorders (M30-M36)”. WHO. 2016년 12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Kuhn, A; Landmann, A; Bonsmann, G (October 2016). “The skin in autoimmune diseases-Unmet needs.”. 《Autoimmunity reviews》 15 (10): 948–54. doi:10.1016/j.autrev.2016.07.013. PMID 27481041.
- ↑ Bohan, A; Peter, JB (1975년 2월 13일).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first of two par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92 (7): 344–7. doi:10.1056/nejm197502132920706. PMID 1090839. and Bohan, A; Peter, JB (1975년 2월 20일).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second of two par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92 (8): 403–7. doi:10.1056/nejm197502202920807. PMID 1089199.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