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산
피트산(Phytic acid)은 이노시톨의 6겹의 인산염 에스터이다. 이노시톨(inositol), 헥사키스인산염(hexakisphosphate, IP6), 이노시톨폴리인산(inositol polyphosphate)으로도 부른다.
![]() | |||
| |||
이름 | |||
---|---|---|---|
IUPAC 이름
(1R,2S,3r,4R,5S,6s)-cyclohexane-1,2,3,4,5,6-hexayl hexakis[dihydrogen (phosphat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1.369 | ||
식품 첨가물 코드 번호 | E391 (산화 방지제, ...)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6H18O24P6 | |||
몰 질량 | 660.029 g·mol−1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피트산염 음이온(phytate anion)은 특히 속겨와 씨 등 수많은 식물 조직에서 중요한 영양적 역할을 하는 무색의 종이다. 수많은 협과, 곡물에도 존재한다. 피트산과 피트산염은 무기질, 칼슘, 철, 아연이 풍부하다.[1]
구조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Schlemmer, U.; Frølich, W.; Prieto, R. M.; Grases, F. (2009). “Phytate in foods and significance for humans: Food sources, intake, processing, bioavailability, protective role and analysis” (PDF).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53 Suppl 2: S330–75. doi:10.1002/mnfr.200900099. PMID 19774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