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韓國史能力檢定試驗)은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확산 ·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한국사에 대해 폭넓고 올바른 지식을 공유하여 균형 잡힌 역사 의식을 갖도록 하며 역사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06년 11월 25일부터 시작된 시험으로서,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 시행한다. 시험은 2010년까지는 연 3회 실시되다가 2012년부터 연 4회 실시되고 있다. 급수는 1급에서 6급까지 나뉘어 있으나 4회부터 1급과 2급은 고급으로, 5급과 6급은 초급으로 문제가 통합되고, 11회부터 3급과 4급은 중급으로 문제가 통합되어 시행되고 있다. 각 등급별로 연령이나 직업에 따른 응시 제한은 없다. 13회까지는 고득점자에게 시상하였으나 14회부터는 시상하지않는다. 합격자는 개인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에서 인증서를 출력해야한다.
급수편집
고급편집
고급 시험은 70점 이상을 획득하면 1급, 60점 이상을 획득하면 2급이 수여된다.
- 1급:한국사 심화과정, 역사 기본 지식 및 적용, 준 전문가 역사 지식,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 2급:한국사 심화과정, 역사 기본 지식 및 적용, 심화교양 수준의 지식,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중급편집
중급 시험은 70점 이상 받으면 3급, 60점이상 받으면 4급 급수를 부여한다.
초급편집
초급 시험은 70점 이상의 성적을 얻으면 5급을 수여하고, 60점 이상의 성적을 얻으면 6급을 수여한다.
역대 시험편집
- 1회 2006년 11월 25일
- 2회 2007년 5월 27일[1]
- 3회 2007년 10월 27일
- 4회 2008년 6월 14일
- 5회 2008년 10월 25일
- 6회 2009년 5월 23일
- 7회 2009년 10월 24일
- 8회 2010년 5월 8일
- 9회 2010년 8월 14일
- 10회 2010년 10월 23일
- 11회 2011년 5월 14일
- 12회 2011년 8월 13일
- 13회 2011년 10월 22일
- 14회 2012년 1월 14일
- 15회 2012년 5월 12일
- 16회 2012년 8월 18일
- 17회 2012년 10월 27일
- 18회 2013년 1월 26일
- 19회 2013년 5월 11일
- 20회 2013년 8월 10일
- 21회 2013년 10월 26일
- 22회 2014년 1월 25일
- 23회 2014년 5월 24일
- 24회 2014년 8월 9일
- 25회 2014년 10월 25일
- 26회 2015년 1월 24일
- 27회 2015년 5월 23일
- 28회 2015년 8월 8일
- 29회 2015년 10월 24일
- 30회 2016년 1월 23일
- 31회 2016년 5월 28일
- 32회 2016년 8월 13일
- 33회 2016년 10월 22일
- 34회 2017년 1월 21일
- 35회 2017년 5월 27일
- 36회 2017년 8월 12일
- 37회 2017년 10월 28일
- 38회 2018년 2월 3일
- 39회 2018년 5월 26일
- 40회 2018년 8월 11일
- 41회 2018년 10월 27일
- 42회 2019년 1월 26일
- 43회 2019년 5월 25일
- 44회 2019년 8월 10일
- 45회 2019년 10월 26일
시험 시간편집
고급편집
- 10:00 ~ 10:10 답안지 작성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10분
- 10:10 ~ 10:15 신분증 확인(감독교사) 5분
- 10:15 ~ 10:20 문제지 배부 및 파본 검사 5분
- 10:20 ~ 11:40 50문항 80분
중급편집
- 10:00 ~ 10:10 답안지 작성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10분
- 10:10 ~ 10:15 신분증 확인(감독교사) 5분
- 10:15 ~ 10:20 문제지 배부 및 파본 검사 5분
- 10:20 ~ 11:40 50문항 80분
초급편집
- 10:00 ~ 10:10 답안지 작성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10분
- 10:10 ~ 10:15 신분증 확인(감독교사) 5분
- 10:15 ~ 10:20 문제지 배부 및 파본 검사 5분
- 10:20 ~ 11:20 40문항 60분
합격에 따른 특전 및 활용편집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5급 공채(행정, 외교), 입법고시 응시 자격 부여.
- 법원행시 응시 자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부여.
- 초중등 교사 임용시험 응시자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부여.
- 공무원연금공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다수 공기업 채용 시 가산점 부여.
- 국비 유학생과 해외파견 공무원 선발 국사시험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합격)으로 대체.
- GS칼텍스 인턴, 신입, 경력사원 채용 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합격을 필수로 함.
- 롯데백화점, 우리은행, 한국콜마, 호남석유화학 사원 채용 또는 승진 시 우대.
- 한일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 안양외국어고등학교, 상산고등학교 입학전형시 활용.
- 경상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안동대학교, 전주대학교 입학전형 시 활용.
- 한국중고등학교농구연맹 한국사능력검정시험 6급 합격자에 한해 대회 출전 자격 부여.
-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장학생 선발 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 가산점 부여.
- 서울특별시 동작구청, 대전광역시청 공무원 승진 시 가산점 부여.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관광해설사 교육대상자 선발 시 우대.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한국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