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피 엔도 (음반)
《핫피 엔도》(일본어: はっぴいえんど 핫피엔도[*])는 일본의 포크 록 밴드 핫피 엔도의 데뷔 음반이다. 그들의 세 번째 음반 또한 영어로 쓰여져 있지만, 자칭이기 때문에, 이 첫 번째 음반은 커버 아트에 묘사된 표지판을 따서 "유데멘(ゆでめん)"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1][2] 유데멘은 특별한 형태의 면이 아니라 단순히 "삶은 국수"라는 뜻이다. 그냥 후루룩 뚝딱 먹어 치우는 국수로, 바쁜 끼니가 급한 사람들을 위한 서민 음식이었다.
![]() | ||||
---|---|---|---|---|
![]() | ||||
핫피 엔도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1970년 8월 5일 | |||
녹음 | 1970년 4월 9일~12일[1] | |||
장르 | 포크 록 | |||
길이 | 35:54 | |||
언어 | 일본어 | |||
레이블 | URC | |||
프로듀서 | 하타 마사키 | |||
핫피 엔도 연표 | ||||
|
2004년 3월 31일 《핫피 엔도 박스》 세트에는 5곡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3]
작사 편집
이 음반의 작사는 마츠모토 타카시가 맡았으며, 〈날지 않는 하늘〉 (호소노 하루오미)와 〈짜증〉 (오타키 에이이치)는 제외되었다.[4]
마이클 K. 부르다그는 첫 번째 트랙 〈봄이여 오라〉가 "도시에서의 평범한 일상"에 관한 것이라고 썼다. 구체적으로는 도시에서의 새로운 삶을 위해 전원주택을 버리고 홀로 코타츠에 앉아 설 명절을 맞이하는 이의 지루함을 대신한다.[5]
반응 편집
이 음반은 "일본어 록 논란"을 촉발시켰기 때문에 일본 음악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일본 록 산업의 저명인사들, 특히 일본어로만 부르는 록 음악이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가장 유명한 멤버들 간의 공론화된 논쟁이 있었다. 이전에는 일본의 거의 모든 인기 록 음악이 영어로 불렸다. 그들의 다음 음반인 《카제마치 로망》은 물론, 핫피 엔도의 데뷔 음반의 성공은 일본에서의 일본어 록의 지속 가능성을 증명했다.[6]
영국의 음악가이자 《Japrocksampler》의 저자인 줄리언 코프는 1970년대 《핫피 엔도》를 밴드의 분명한 최고 작품으로 언급했다.[7] 코프와 HMV 재팬은 크로스비, 스틸스, 내시 & 영의 작품과 비슷한 점을 지적했다.[2][7]
곡 목록 편집
#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봄이여 오라 (春よ来い) | 마츠모토 타카시 | 오타키 에이이치 | 4:17 |
2. | 숨바꼭질 (かくれんぼ) | 마츠모토 타카시 | 오타키 에이이치 | 4:32 |
3. | 씽씽씽 (しんしんしん) | 마츠모토 타카시 | 호소노 하루오미 | 3:06 |
4. | 날지 않는 하늘 (飛べない空) | 호소노 하루오미 | 호소노 하루오미 | 2:44 |
5. | 적 타나토스를 생각해라! (敵タナトスを想起せよ!) | 마츠모토 타카시 | 호소노 하루오미 | 3:00 |
#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6. | 아야카시의 동물원 (あやか市の動物園) | 마츠모토 타카시 | 호소노 하루오미 | 2:48 |
7. | 12월의 비 오는 날 (12月の雨の日) | 마츠모토 타카시 | 오타키 에이이치 | 3:27 |
8. | 짜증 (いらいら) | 오타키 에이이치 | 오타키 에이이치 | 3:15 |
9. | 아침 (朝) | 마츠모토 타카시 | 오타키 에이이치 | 2:29 |
10. | 해피 엔딩 (はっぴいえんど) | 마츠모토 타카시 | 호소노 하루오미 | 3:26 |
11. | 계속해서 해피 엔딩 (続はっぴ-いいえ-んど) | 마츠모토 타카시 | 호소노 하루오미 | 2:20 |
각주 편집
- ↑ 가 나 “はっぴいえんど1stアルバム制作風景を写した写真集「ゆでめん」発売”. 《Natalie》 (일본어). 2021년 8월 2일.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Top 100 Japanese pops Artists - No.4”. 《HMV Japan》 (일본어). 2003년 11월 27일. 2016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はっぴいえんどbox”. 《HMV Japan》 (일본어). 2016년 1월 9일에 확인함.
- ↑ “haruomi hosono: はっぴいえんど / はっぴいえんど”. 《hosono.sblo.jp》 (일본어).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5일에 확인함.
- ↑ Bourdaghs, Michael K. (2012). 《Sayonara Amerika, Sayonara Nippon: A Geopolitical Prehistory of J-pop》 (영어). Columbia University Press. 173쪽. ISBN 978-0-231-15874-9.
- ↑ 《TJ Mook Kike! Densetsu no Nihon Rokku 1969-79》 TJ MOOK 聴け! 伝説の日本ロック1969-79 [TJ Mook Kike! Legendary Japanese Rock 1969-79]. Takarajima Press. 2004. 33쪽. ISBN 4-7966-3862-8.
- ↑ 가 나 “Happy End”. 《Japrocksampler》. 2011년 8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はっぴいえんど - 아이튠즈
- はっぴいえんど-はっぴいえんど - 디스코그스 (발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