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구 외부 융기대

해구에서 해양판이 가라앉을 때 판이 휘기 시작하는 부분의 작은 융기대

해구 외부 융기대(Outer trench swell) 혹은 간단하게 별칭으로 아웃터라이즈(outer rise), 아우터라이즈해구 부근에서 융기한 낮은 높이의 해저 능선으로,[1] 침강하는 해양판섭입대에서 맨틀 방향으로 침강하기 위해 습곡단층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영역이다. 해구 외부 융기대의 암석권은 판의 응력으로 위쪽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지각 평형 상태에 있지 않다.[2][3]

섭입대 지역의 모식도. 제일 오른쪽 끝의 해양판이 침강하기 전에 융기되어 있는 부분이 '해구 외부 융기대'이다.

아웃터라이즈 지진

편집

해구 외부 융기대에서는 종종 정단층지진이 발생한다.[3] 판의 경계, 여기서는 해구에서 역단층거대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이후 정단층형의 아웃터라이즈 지진이 종종 발생한다.[4] 판 경계에서 역단층형 지진이 발생해 해양판이 가라앉히게 만들던 대륙판이 누르는 압력이 갑자기 풀려 판이 구부러지는 부분인 아웃터라이즈의 얕은 지역에 당기는 힘이 발생해 정단층형 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 아웃터라이즈 지진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구 너머 심해에서 일어나므로 지진 자체의 흔들림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아웃터라이즈 지진으로는 1933년 쇼와 산리쿠 해역 지진이 아웃터라이즈 지진인 것으로 추정되며 2006년 일어난 규모 M8.3의 쿠릴 열도 해역 지진이 일어난 지 2개월 후 일어난 2007년 규모 M8.1의 쿠릴 열도 해역 지진이 아웃터라이즈 지진인 것으로 추정된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素領域2020年6月5日号|科学新聞The Science | 科学新聞 The Science News”. 2022년 2월 1일에 확인함. 
  2. (일본어)アウターライズ地震』 - Kotobank
  3. “話題の研究 謎解き解説<プレスリリース<海洋研究開発機構”. 《www.jamstec.go.jp》 (일본어). 2022년 2월 1일에 확인함. 
  4. “概要|アウターライズ地震”. 《www.jamstec.go.jp》. 2022년 2월 1일에 확인함. 
  5. 大木、纐纈 (2011) pp.94-96

참고 문헌

편집
  • Hirano, N., Takahashi, E., Yamamoto, J., Abe, N., Ingle, S.P., Kaneoka, I., Hirata, T., Kimura, J.-I., Ishii, T., Ogawa, Y., Machida, S., and Suyehiro, K., 2006. "Volcanism in Response to Plate Flexure: Science 313, 1426, doi 10.1126/science.1128235
  • Ranero, C., Morgan, J. P., McIntosh, K., and Reichert, C., 2003. "Bending-related faulting and mantle serpentinization at the Middle America trench". Nature 425, 367–373
  • Stern, R.J., 2002. "Subduction Zones" Reviews of Geophysics, 40, doi 10.1029/2001RG00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