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왕성의 고리

해왕성의 고리는 5개의 고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1984년에 앙드레 브라익이 예측하고 1989년에 보이저 2호가 발견했다.[1] 해왕성 고리 구조의 대부분은 목성의 고리처럼 희박하고 희미한 먼지 성분으로 되어 있는데, 천왕성의 고리와 비슷하게, 방사능 처리된 유기 화합물처럼 시커먼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2]

해왕성의 고리와 위성들을 나타낸 도표. 실선은 고리를, 점선은 위성 궤도를 나타낸다.

고리들은 해왕성의 발견 때 한몫 했던 천문학자들의 이름이 붙여져[1] 안쪽부터 각각 갈레, 르베리에, 라셀, 아라고, 애덤스라고 명명되었다.[3] 이 5개 고리 외에도 위성 갈라테아의 궤도와 일치하는 이름없는 희미한 고리가 하나 더 있으며, 위성 네레이드, 탈라사, 데스피나가 고리들 사이로 공전하고 있다.[3] 특이하게도 애덤스 고리에는 5개의 뚜렷한 원호 구조가 있는데, 이 원호들은 각각 ‘커리지’(Courage; 용기), ‘리베흐테’(Liberté; 자유), ‘에갈리테 1·2’(Egalité; 평등), ‘프라테르니테’(Fraternité; 박애)라고 이름 붙여졌다.

각주

편집
  1. Miner, Ellis D., Wessen, Randii R., Cuzzi, Jeffrey N. (2007). "The discovery of the Neptune ring system". Planetary Ring Systems. Springer Praxis Books. ISBN 978-0-387-34177-4.
  2. Smith, B. A.; Soderblom, L. A.; Banfield, D. et al (1989). "Voyager 2 at Neptune: Imaging Science Results". Science 246 (4936): 1422. Bibcode 1989Sci...246.1422S. doi:10.1126/science.246.4936.1422. PMID 17755997. edit
  3. Miner, Ellis D., Wessen, Randii R., Cuzzi, Jeffrey N. (2007). "Present knowledge of the Neptune ring system". Planetary Ring System. Springer Praxis Books. ISBN 978-0-387-34177-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