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인자 카파비
다양한 세포의 핵에서 작용하면서 인핸서와도 결합할 수 있는 전사 활성인자의 한 종류
핵인자 카파비(NF-κB,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는 DNA의 전사 과정,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세포의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이다. NF-κB는 거의 모든 동물 세포 종류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자극에 대한 세포 반응, 예를 들어 스트레스, 사이토카인, 자유 라디칼, 중금속, 자외선 노출, 산화된 지방질,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항원 등에 대한 반응에 관여한다.[1][2][3][4][5]


NF-κB는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NF-κB의 잘못된 전사 조절은 암, 염증성 질환과 자가면역질환, 패혈증 쇼크, 바이러스 감염, 면역계의 발달이상 등을 초래한다. NF-κB는 또한 시냅스 가소성 및 기억의 형성 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8][9][10][1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가 나 다 Gilmore TD (October 2006). “Introduction to NF-κB: players, pathways, perspectives”. 《Oncogene》 25 (51): 6680–4. doi:10.1038/sj.onc.1209954. PMID 17072321.
- ↑ 가 나 다 Brasier AR (2006). “The NF-κB regulatory network”. 《Cardiovascular Toxicology》 6 (2): 111–30. doi:10.1385/CT:6:2:111. PMID 17303919.
- ↑ 가 나 다 Perkins ND (January 2007). “Integrating cell-signalling pathways with NF-κB and IKK function”.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8 (1): 49–62. doi:10.1038/nrm2083. PMID 17183360.
- ↑ Gilmore TD (November 1999). “The Rel/NF-κB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troduction”. 《Oncogene》 18 (49): 6842–4. doi:10.1038/sj.onc.1203237. PMID 10602459.
- ↑ Tian B, Brasier AR (2003). “Identification of a nuclear factor κB-dependent gene network”. 《Recent Progress in Hormone Research》 58: 95–130. doi:10.1210/rp.58.1.95. PMID 12795416.
- ↑ Albensi BC, Mattson MP (February 2000).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TNF and NF-κB in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Synapse》 35 (2): 151–9. doi:10.1002/(SICI)1098-2396(200002)35:2<151::AID-SYN8>3.0.CO;2-P. PMID 10611641.
- ↑ Meffert MK, Chang JM, Wiltgen BJ, Fanselow MS, Baltimore D (October 2003). “NF-κB functions in synaptic signaling and behavior” (PDF). 《Nature Neuroscience》 6 (10): 1072–8. doi:10.1038/nn1110. PMID 12947408.
- ↑ Levenson JM, Choi S, Lee SY, Cao YA, Ahn HJ, Worley KC, Pizzi M, Liou HC, Sweatt JD (April 2004). “A bioinformatics analysis of memory consolidation reveals involvement of the transcription factor c-rel”.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4 (16): 3933–43. doi:10.1523/JNEUROSCI.5646-03.2004. PMID 15102909.
- ↑ Freudenthal R, Locatelli F, Hermitte G, Maldonado H, Lafourcade C, Delorenzi A, Romano A (February 1998). “κ-B like DNA-binding activity is enhanced after spaced training that induces long-term memory in the crab Chasmagnathus”. 《Neuroscience Letters》 242 (3): 143–6. doi:10.1016/S0304-3940(98)00059-7. PMID 9530926.
- ↑ Merlo E, Freudenthal R, Romano A (2002). “The IκB kinase inhibitor sulfasalazine impairs long-term memory in the crab Chasmagnathus”. 《Neuroscience》 112 (1): 161–72. doi:10.1016/S0306-4522(02)00049-0. PMID 12044481.
- ↑ Park HJ, Youn HS (March 2013). “Mercury induces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29 (2): 169–74. doi:10.1177/0748233711427048. PMID 22080037.
외부 링크 편집
- 의학주제표목 (MeSH)의 NF-kappa+B
- Sankar Ghosh (2006). 《Handbook of Transcription Factor NF-κB》. Boca Raton: CRC. ISBN 978-0-8493-2794-0.
- Thomas D. Gilmore. “The Rel/NF-κB Signal Transduction Pathway”. Boston University.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