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버크래프트
공기부양정(空氣浮揚艇) 또는 호버크래프트(영어: Hovercraft/Air cushion vehicle)[1]는 땅·강 위·바다 위에 압축공기를 뿜어내어 기체를 띄워서 나는 에어쿠션선이다. 이름은 상품명에서 왔다. 1955년 영국의 크리스토퍼 코커렐이 배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력을 줄이려다가 실패해 결국, 물에서 뜨게 하는, 즉 호버크래프트가 발명되었으며, 1959년 5월 영국의 카우스에서 첫 비행을 하였다.

선체의 상부에 마련된 팬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이것을 하부의 주위에 있는 제트 노즐로부터 안쪽을 향해서 불어대면 에어 커튼이 생긴다. 에어 커튼·선체 및 수면(또는 지면)에 가두어진 공기는 밖으로 나가지 못하며, 자연히 압력이 높아져 에어 쿠션을 만든다. 그래서 마침내 선체의 중량과 맞먹는 점에 이르게 되면 선체를 띄우게 된다. 이것을 지면효과라고 하며, 호버크래프트는 이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영국에서는 대형화된 160t, 여객 250명, 자동차 35대를 적재할 수 있는 호버크래프트를 완성한 바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LSF-2
- LCAC
- 무레나급 공기부양정
- 상륙용 주정 장비(LCU)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 ↑ Wragg, David W. (1973). 《A Dictionary of Aviation》 fir판. Osprey. 18쪽. ISBN 9780850451634.
이 글은 선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