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단층

지진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단층

활성단층 또는 활단층(active fault)은 단층 중 최근에도 지진이 발생하였고 미래에도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단층을 의미한다.[1] 대체로 지질학자들은 1만년 이내에 단층 운동을 하였거나 그러한 운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보인 단층을 활성단층이라 간주한다.[2]그러나 나라마다 지질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시간적 정의는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최근에는 주로 신생대 제4기 동안 (지금으로부터 약 200만 년 이내) 활동을 했던 단층을 활성 가능한 단층으로 보고 조사를 하는 추세이다.[3] 대체로 활성단층은 판 경계간 지역 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성단층은 보통 "내륙 지각 내 지진"(직하형지진)을 일으킨다.

샌앤드레이어스 단층

일본 국토지리원에서는 단층의 규모에 따라 활단층을 A급 활단층에서 C급 활단층으로 구분하며, 일본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에서는 30년 내 지진 발생 위험도에 따라 S급 위험도(3% 이상)서부터 A급(0.1-3%), Z급(0.1% 미만), X급(확률 불명) 위험도로 구분한다.[4]

확인 편집

어떤 단층이 활성단층인지는 지형 조사, 지질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한다. 특히 수천 년에 한 두번 간헐적으로 단층 운동이 발생하는 지역은 함몰 못, 단층 절벽 등의 특이한 지형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지형만으로 그런 지질 운동이 발생한 순서나 그 시기를 결정하긴 어려우므로 단층을 덮고 있는 토양을 트렌치로 도랑을 파서 지층의 단층차인 오프셋(offset)을 확인해 과거의 지진 활동을 추적하여 활성단층 여부를 파악한다.[5] 또는, 단층 비지의 전자자기공명법(Electric Spin Rexonance) 즉 ESR 연대측정법을 통해 단층이 언제 마지막으로 운동했는지 알아낼 수도 있다. 활성단층이 있는 영역을 이용해 잠재적인 지진 위험을 분석하는 지진 예보에 여러 다른 요인과 함께 중요하게 사용된다.[6]

ESR 연대측정법 편집

ESR 연대측정법단층에 발달한 단층비지나 제4기 퇴적층을 상대로 ESR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단층이 언제 마지막으로 활동했는지 알아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활용해 여러 한국의 단층들이 제4기에 활동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나 한국의 단층에서 ESR 연대값이 10만년 이하로 나온 경우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한국 편집

한국에서는 추가령 단층, 신갈 단층, 왕숙천 단층, 단곡 단층, 오십천 단층, 금왕 단층, 공주 단층, 가음 단층, 양산 단층, 울산 단층 등에서 실시된 ESR 연대측정을 통해 약 10~100만 년 전에 이들 단층이 마지막으로 활동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신생대 제4기 동안 활동했던 단층을 활성단층으로 간주한다면 이들 단층도 활성단층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079298 "울산단층대 주변의 단층 지형 및 선구조 분포" 한국지형학회, 2018
  2. “Active fault” (online web page). 《Earthquake Glossary》. USGS Earthquake Hazards Program. 2009년 11월 3일. 2011년 9월 17일에 확인함. 
  3. https://www.ndmi.go.kr/research/research/view.jsp "다부처공동 지진단층조사 연구개발사업 공동기획연구" (PDF 파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7
  4.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정기이사회 (2016년 8월 19일). “活断層長期評価の表記見直しについて” (PDF) (일본어).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2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5. 이기화 (2016년 10월 30일). 박상준, 편집.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1판. 서울: 사이언스북스. 66쪽. ISBN 978-89-8371-730-6. 
  6. Slemmons, D. Burton; and Defolo, Craig (1986). 〈Evaluation of Active Faulting and Associated Hazards〉. 《Active Tectonics: Impact on Societ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5–48쪽. ISBN 978-0-309-07395-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