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는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의 1923년 시즌 정구 대회이다. 1923년 6월 10일부터 6월 17일까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에 있는 보성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2][3][4]
1923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 |
---|---|
대회 명칭 | 제1회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개최 기간 | 1923년 6월 10일~6월 17일 |
주최 | 조선학생회 |
선수단 | 6개 선수단 |
결과 | |
![]() |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
1924 » |
정구단
편집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비고 |
---|---|---|---|---|
경성고등공업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
경성의학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1 | |
수원고등농림학교 정구단 | 수원 | 1923 | 1 |
경기 결과
편집1라운드 | 준결승 | 결승 | ||||||||
6월 17일 - 경성 |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 패 | |||||||||
6월 17일 - 경성 | ||||||||||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 승 | |||||||||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 | 패 | |||||||||
6월 17일 - 경성 | ||||||||||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 승 | |||||||||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 승 | |||||||||
불명 | 패 | |||||||||
6월 17일 - 경성 | ||||||||||
경성의학전문학교 정구단 | 불명 | |||||||||
6월 10일 - 경성 | ||||||||||
수원고등농림학교 정구단 | 불명 | |||||||||
수원고등농림학교 정구단 | 승 | |||||||||
경성고등공업학교 정구단 | 패 | |||||||||
1923년 6월 10일 9시에 개회식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우천 상황으로 인해 10시에 개회식이 진행되었다.[5] 그 후 진행된 수원고등농림학교 정구단과 경성고등공업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수원고등농림학교 정구단이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5] 같은 날 12시 30분에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과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가 시작되었으나 우천으로 인해 경기 진행이 불가하여 6월 17일로 순연되었다.[5] 1923년 6월 17일 9시 35분에 시작된 경성법학전문학교 정구단과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는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이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6] 준결승은 보성전문학교 정구단과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이 첫 번째로 맞붙었고, 경성의학전문학교 정구단과 수원고등농림학교 정구단이 두 번째로 맞붙었다.[6] 경성고등상업학교 정구단이 우승을 차지했다.[7][8]
각주
편집- ↑ “庭球大會(정구대회)를開催(개최) 朝鮮學生大會主催(조선학생대회주최)로”. 조선일보. 1923년 5월 31일.
- ↑ “全鮮專門校(전선전문교)의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 조선학생회주최로”. 동아일보. 1923년 6월 2일.
- ↑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는今日(금일) 朝鮮學生會(조선학생회)의主催(주최)로 보셩고등보통학교운동장에서”. 조선일보. 1923년 6월 10일.
- ↑ “苦待中(고대중)에延期(연기)되엿든 全鮮專門學生庭球大會(전선전문학생정구대회)는”. 동아일보. 1923년 6월 17일.
- ↑ 가 나 다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는延期(연기) 한참어우러져싸호다가비가와”. 조선일보. 1923년 6월 11일.
- ↑ 가 나 “大壯觀(대장관)의聯合庭球(연합정구)”. 조선일보. 1923년 6월 18일.
- ↑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대한체육회. 289쪽. 202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대한체육회. 414쪽. 202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3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202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庭球大會(정구대회)를開催(개최) 朝鮮學生大會主催(조선학생대회주최)로”. 조선일보. 1923년 5월 31일.
- “全鮮專門校(전선전문교)의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 조선학생회주최로”. 동아일보. 1923년 6월 2일.
- “人氣(인기)를集中(집중)하는 庭球大會(정구대회)”. 동아일보. 1923년 6월 4일.
-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는今日(금일) 朝鮮學生會(조선학생회)의主催(주최)로 보셩고등보통학교운동장에서”. 조선일보. 1923년 6월 10일.
-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 동아일보. 1923년 6월 10일.
- “聯合庭球大會(연합정구대회)는延期(연기) 한참어우러져싸호다가비가와”. 조선일보. 1923년 6월 11일.
- “苦待中(고대중)에延期(연기)되엿든 全鮮專門學生庭球大會(전선전문학생정구대회)는”. 동아일보. 1923년 6월 17일.
- “聯合庭球(연합정구)”. 조선일보. 1923년 6월 17일.
- “大壯觀(대장관)의聯合庭球(연합정구)”. 조선일보. 1923년 6월 18일.
- “불볏알에𤍠技(𤍠기)”. 동아일보. 1923년 6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