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는 1964년 7월 29일에서 30일 사이에 서해에 불어닥친 태풍으로 연평도 부근에서 조업하던 새우잡이 어선단이 실종된 사고이다.[1] 실종된 어선단의 대부분은 북한에 표류, 억류되었다가 귀환하였고, 2명이 귀환하지 못했다. 이 사고로 모두 95명이 사망 또는 행방불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고 경위편집
태풍 플로시편집
1964년 제7호 태풍 플로시(Flossie)는 28일 새벽 상해 남동 200 km 해상에서 북쪽으로 진행 중이었다.[2] 중앙관상대는 29일 7시 반을 기하여 서해 해상에 태풍 경보를 발령하였다.[3] 태풍은 예상과는 달리 중부지방에 상륙하지 않고 북상하였고, 30일 오전에는 함경북도 지방으로 이동하였다. 서해 해상에 내렸던 태풍경보와 주의보는 30일 4시에 해제되었다.[4] 인천에서 관측된 태풍의 최대 풍속은 초속 35m였다.[5]
조난 사고편집
8월 5일, 서해안에서 조업 중이거나 정박 중이던 선박 65척과 승선한 281명의 선원이 태풍의 영향으로 행방불명되었음이 보도되었다.[6]
8월 6일까지 파악한 경기도 일대의 실종 사고는 어선 85척에 행방불명 543명이며, 해군과 경찰, 민간 선박을 동원하여 수색하여 그중 27척과 236명을 구조하여 58척에 행방불명 313명이 남아 있다고 보도되었다.[1][7]
구조 및 사고 처리편집
북한의 구조편집
8월 5일, 북한에서 태풍이 지나간 29일 한국 어선 30여 척과 200여 명 이상의 어부들을 구조하였다고 신화 통신에서 보도한 내용이 4일발 동경 AP 통신을 인용하여 한국내에 알려졌다.[8]
송환편집
8월 10일, 북한이 군사정전위 공산대표를 통하여 200여 명의 어부들과 어선의 송환 의사를 유엔측 대표에 전달하였다고 14일 국방부장관이 발표하였다.[9]
9월 11일, 판문점에서 열린 군사정전위원회에서 북한대표는 한국정부의 관계기관 대표가 15일 해주에 와서 어부들을 인수해 가라고 통고하였다.[10]
9월 15일 해주를 떠난 어선 33척과 어부 219명이 북한과 한국 함정의 연계 인도로 연평도에 도착하였다.[11]
사망, 실종 및 미귀환편집
실종된 58척 313명 중 33척 219명이 귀환하였다. 남은 실종자 중 3명은 시신이 확인되었고, 경찰은 송환된 어부들의 목격에 의해 32명이 폭풍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2명은 북한에 억류되었고, 남은 62명은 여전히 행방불명으로 보도되었다.[12][13]
북한에 억류 시 야간에 어민들이 곳곳을 구경하게 하였는데 한 선원이 이에 이의를 제기하고 안내원과 말다툼을 벌이자 격리수용되었고 송환에서도 제외되었음이 귀환한 어부들로부터 밝혀져, 내무부가 국방부를 통하여 군사정전위원회에 해당 선원의 송환 요구를 요청하게 했다고 보도되었다.[14]
원인 분석 및 논란편집
사고의 원인으로, 어선의 태풍경보 무시, 해군의 경고에도 조업 계속, 섬의 무전 연락 미비가 지적되기도 하였다.[1] 어선의 대부분이 무동력선이고, 섬에 방파제가 없는 것도 원인으로 지적되었다.[15]
각주편집
- ↑ 가 나 다 "돌아오지 않는 58隻 颱風으로, 《경향신문》, 1964.8.6
- ↑ 西南海颱風注意報, 《동아일보》, 1964.7.28
- ↑ 颱風『플』號上陸 오늘밤, 《동아일보》, 1964.7.29
- ↑ 슬쩍비켜北上 颱風 플로시號 警報등도 해제, 《경향신문》, 1964.7.30
- ↑ 颱風플로시號 北韓으로빠져, 《동아일보》, 1964.7.30
- ↑ 漁船등65隻 失蹤, 《동아일보》, 1964.8.5
- ↑ 실제로 계산해 보면, 543명 중 구조된 236명을 제하면 307명이 남는다.
- ↑ "漁船30餘隻구출 北傀放送,颱風「플로시」에漂流", 《경향신문》, 1964.8.5
- ↑ 抑留漁民 곧돌아와 金國防談, 《경향신문》, 1964.8.15
- ↑ "漁民代表가 海州에서 身柄을 引受토록", 《경향신문》, 1964.9.11
- ↑ 漁夫2百19名,自由의품에, 《경향신문》, 1964.9.16
- ↑ 失踪등95名은 死亡으로看做, 《동아일보》, 1964.9.17
- ↑ 313명에서 219명과 32명을 제하면 62명이 남는다.
- ↑ 漁夫1名아직抑留 北傀의案内員과싸우다, 《경향신문》, 1964.11.4
- ↑ 落島 아낙 네들 목메 울부짖어, 《경향신문》, 196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