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계 올림픽 과테말라 선수단
과테말라는 2012년 7월 27일에서 8월 12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0회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후 불참한 세 번을 제외하고 열세 번째 참가였다.
올림픽 과테말라 선수단 | ||||
---|---|---|---|---|
IOC 코드 | GUA | |||
NOC | 과테말라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 |||
201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
참가 선수 | 19명 | |||
참가 종목 | 11개 종목 | |||
기수 | 후안 이냐시오 마엘리 (개회식) 에리크 바론도 (폐막식) | |||
메달 집계 종합 69위 |
0 |
1 |
0 |
1 |
역대 선수단 | ||||
하계 올림픽 | ||||
동계 올림픽 | ||||
| ||||
하계 청소년 올림픽 | ||||
올림픽 과테말라 선수단 |
과테말라 올림픽 위원회는 이 대회에 1996년 애틀란트 올림픽 이후 가장 규모가 큰 선수단을 파견했다. 선수단은 열한 종목에 걸쳐 남자 열둘, 여자 일곱 모두 열아홉 선수로 구성되었다.
개막식 기수는 Laser sailor인 후안 이냐시오 마엘리가 맡았다. 선수단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선수는 사격 선수인 마흔한 살 세르히오 산체스였다.
메달 집계
편집종목별 참가 선수 및 메달 집계
편집종목 | 참가 선수 | 합계 | |||
---|---|---|---|---|---|
근대5종 | 1 | 0 | |||
배드민턴 | 1 | 0 | |||
사격 | 2 | 0 | |||
수영 | 1 | 0 | |||
사이클 | 1 | 0 | |||
역도 | 1 | 0 | |||
요트 | 2 | 0 | |||
유도 | 1 | 0 | |||
육상 | 6 | 1 | 1 | ||
체조 | 1 | 0 | |||
합계 | 19 | 0 | 1 | 0 | 1 |
메달리스트
편집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에리크 바론도 | 육상 | 남자 경보 20km | 8월 4일 |
종목별 성적
편집근대 5종
편집선수 | 세부 종목 | 펜싱 | 수영 (200m 자유형) |
승마 | 복합 (크로스컨트리+사격) |
합계 | 최종 순위 | |||||||||
---|---|---|---|---|---|---|---|---|---|---|---|---|---|---|---|---|
승 | 패 | 순위 | 점수 | 기록 | 순위 | 점수 | 기록 | 순위 | 점수 | 기록 | 순위 | 점수 | ||||
안드레이 헤오르헤 | 남자 개인 | 15 | 20 | =25 | 760 | 2:13.89 | 35 | 1196 | 88 | 22 | 1112 | 11:15.58 | 27 | 2300 | 5368 | 31 |
배드민턴
편집선수 | 세부 종목 | 그룹/예선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3-4위 결정전 | 최종 순위 |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순위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상대선수 결과 | |||
케빈 코르돈 | 남자 단식 | 헨리 후르스카이넨 승 (2 - 1) |
라지브 우세프 승 (2 - 1) |
1 Q | 사사키 쇼 패 (0 - 2) |
진출 못함 | =9 |
사이클
편집도로 경기
편집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
마누엘 로다스 | 남자 개인 도로 경기 | 완주 못함 |
사격
편집과테말라는 선수 두 명이 대회 참가 자격을 얻었다.[2]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스코어 | 순위 | 스코어 | 최종 순위 | ||
Jean Pierre Brol | Trap | 116 | 28 | 진출 못함 | |
Sergio Sánchez | 10 m air pistol | 565 | 42 | 진출 못함 | |
50m 권총 | 533 | 36 | 진출 못함 |
수영
편집-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준결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최종 순위 | ||
Kevin Ávila | 남자 자유형 100m | 51.44 | 38 | 진출 못함 |
역도
편집과테말라는 남자 1명, 여자 1명 모두 두 명의 선수가 참가 자격을 얻었다.
선수 | 세부 종목 | 인상 | 용상 | 합계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Christian López | 남자 +105kg급 | 172 | 16 | 215 | 14 | 387 | 15 |
Astrid Camposeco | Women's +75 kg | 93 | 12 | 115 | 11 | 208 | 11 |
요트
편집-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레이스 | 포인트 | 최종 순위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M* | |||||
Juan Ignacio Maegli | 레이저급 | 1 | 10 | 7 | 13 | 5 | 20 | 7 | 10 | 21 | 7 | 108 | 9 |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레이스 | 포인트 | 최종 순위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M* | |||||
Andrea Aldana | 레이저 레이디얼급 | 24 | 36 | 34 | 38 | 8 | 24 | 33 | 29 | 31 | EL | 257 | 32 |
M = Medal race; EL = Eliminated – 진출 못함 into the medal race;
유도
편집-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32강 | 16강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최종 순위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
Darrel Castillo | 남자 100kg 이상급 | Kamikawa (JPN) 패 0000–0100 |
진출 못함 | =17 |
육상
편집올림픽 출전 기준 기록을 통과한 여섯 선수가 육상 종목에 참가했다. (세부 종목별로 기준 기록 A를 통과한 선수를 한 나라 당 세 명까지 참가시킬 수 있었다. 만약 A기록을 통과한 선수가 없다면, B기록을 통과한 선수 한 명을 참가시킬 수 있었다)[3][4]
-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Erick Barrondo | 20km 경보 | 1:18:57 | |
50km 경보 | 실격 | ||
José Amado García | 마라톤 | 2:18:23 | 38 |
Jaime Quiyuch | 50km 경보 | DSQ |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기록 | 순위 |
Jamy Franco | 20km 경보 | 1:33:18 | 31 |
Mayra Carolina Herrera | 1:35:33 | 46 | |
Mirna Ortiz | 실격 |
체조
편집-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최종 순위 | |||||||||
---|---|---|---|---|---|---|---|---|---|---|---|---|---|
기구 | 합계 | 순위 | 기구 | 합계 | |||||||||
마루운동 | 도마 | 이단평행봉 | 평균대 | 마루운동 | 도마 | 이단평행봉 | 평균대 | ||||||
Ana Sofía Gómez | 개인 종합 | 14.000 | 14.533 | 13.266 | 14.333 | 56.132 | 16 Q | 13.400 | 14.633 | 13.733 | 13.133 | 54.899 | 22 |
태권도
편집과테말라는 여자 선수 1명이 대회 참가 자격을 얻었다.
선수 | 세부 종목 | 16강 | 준준결승 | 준결승 | 패자부활전 (예선) |
패자부활전 (동메달 결정전) |
결승 | 최종 순위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
Elizabeth Zamora | 여자 49kg급 | Wu Jy (CHN) 패 2–10 |
진출 못함 | 가사하라 에리카 (JPN) 승 6–2 |
Sonkham (THA) 패 0–8 |
진출 못함 | 5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hen wins Olympic 20km walk, history for Guatemala”. Eurosport Asia. 2012년 8월 4일. 2012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 “Quota places by nation and name.”. International Shooting Sport Federation. 2014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iaaf.org – Top Lists”. IAAF. 2011년 6월 4일에 확인함.
- ↑ 《IAAF Games of the XXX Olympiad – London 2012 ENTRY STANDARDS》 (PDF), IAAF, 2011년 6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