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예선
다음은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종목 출전 예선에 관한 규칙과 출전권 배정 현황에 관한 것이다.[1]
2018년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 ||||
올림픽 예선 | ||||
거리종목 | ||||
---|---|---|---|---|
프리 | 남자 | 여자 | ||
스키애슬론 | 남자 | 여자 | ||
클래식 | 남자 | 여자 | ||
계주 | 남자 | 여자 | ||
스프린트 | ||||
개인 | 남자 | 여자 | ||
단체 | 남자 | 여자 |
출전권 부여 규정
편집기준
편집이번 대회에서는 총 310명의 선수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한 국가당 최대 20명까지 부여받을 수 있으며, 남녀당 최대 12명까지 허용된다. 즉 어느 한쪽이 12명을 채웠다면 다른 한쪽은 8명만 내보내야 한다.
출전권 부여 과정에는 A기준과 B기준이 있다.
- A기준: FIS 거리종목 포인트 100위 내에 들은 선수는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종목 모두, 혹은 둘 중 하나에 출전할 수 있다. 120위 이내의 선수들은 스프린트 전 종목에 참가할 수 있으며, 이후 300위까지의 선수는 일부 거리종목 (여자 10km, 남자 15km)에 출전 가능하다.
- B기준: A기준만으로는 한 명의 선수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국가의 경우, 남녀당 한 명씩은 스프린트 종목이나 10km 프리 (여자)/15km 프리 (남자) 종목에 출전시킬 수 있는데 이를 기본쿼터 (basic quota)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2018년 1월 22일까지의 경기에서 FIS 거리종목 포인트 300위 이내에 들은 선수여야 한다. 기준 시점은 2016년 7월부터였다.
쿼터배정
편집- 기본쿼터 - B기준을 충족하는 국가는 남녀당 한 명씩 총 두 명의 선수 출전권이 배정된다.
- 포인트순위 상위 300위 - 어느 종목이든 남녀 선수 중 한 명 이상이 300위 이내에 들은 국가는 기본쿼터에 남녀 추가쿼터 한 개 이상이 더 부여된다.
- 포인트순위 상위 30위 - 어느 종목이든 남녀 선수 중 한 명 이상이 30위 이내에 들은 국가는 기본쿼터에 남녀 추가쿼터 최대 네 개까지 부여할 수 있다.
- 잔여 쿼터 - 이밖에도 남은 쿼터는 2018년 1월 22일 기준 올림픽 쿼터배정 명단에 따라 배분된다. 위 쿼터들을 비롯해 전체 배분 쿼터수가 310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한 국가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해당 국가의 나머지 선수들은 그대로 건너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명단은 거리종목과 스프린트 양 종목의 상위 500위까지의 순위명단이다.
기본쿼터 외에 나머지 세 기준의 경우, 한 쿼터는 한 선수에만 적용되어 출전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한 국가의 어느 선수가 세 기준에 모조리 해당된다고 하더라도 세 쿼터가 배정되는 것이 아닌 하나로 통친다는 의미다.
쿼터배정
편집2018년 1월 26일 쿼터 재배정 이후의 기준.[2]
현황
편집국가 | 남자 | 여자 | 추가쿼터 | 총합 |
---|---|---|---|---|
안도라 | 1 | 1 | ||
아르헨티나 | 1 | 1 | 2 | |
아르메니아 | 1 | 1 | 2 | |
오스트레일리아 | 2 | 2 | 2 | 6 |
오스트리아 | 2 | 2 | 3 | 7 |
벨라루스 | 2 | 2 | 5 | 9 |
벨기에 | 1 | 1 | ||
버뮤다 | 1 | 1 | ||
볼리비아 | 1 | 1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 | 1 | 2 | |
브라질 | 1 | 1 | 2 | |
불가리아 | 2 | 1 | 3 | |
캐나다 | 2 | 2 | 7 | 11 |
칠레 | 1 | 1 | 2 | |
중화인민공화국 | 2 | 2 | 4 | |
콜롬비아 | 1 | 1 | ||
크로아티아 | 2 | 2 | 4 | |
체코 | 2 | 2 | 6 | 10 |
덴마크 | 1 | 1 | ||
에콰도르 | 1 | 1 | ||
에스토니아 | 2 | 2 | 3 | 7 |
핀란드 | 2 | 2 | 15 | 19 |
프랑스 | 2 | 2 | 9 | 13 |
독일 | 2 | 2 | 12 | 16 |
영국 | 1 | 1 | 2 | 4 |
그리스 | 1 | 1 | 2 | |
헝가리 | 1 | 1 | 2 | |
아이슬란드 | 2 | 1 | 3 | |
인도 | 1 | 1 | ||
이란 | 1 | 1 | 2 | |
아일랜드 | 1 | 1 | ||
이탈리아 | 2 | 2 | 11 | 15 |
일본 | 1 | 1 | 2 | |
카자흐스탄 | 2 | 2 | 3 | 7 |
키르기스스탄 | 1 | 1 | ||
라트비아 | 1 | 2 | 3 | |
레바논 | 1 | 1 | ||
리히텐슈타인 | 1 | 1 | ||
리투아니아 | 2 | 1 | 3 | |
마케도니아 공화국 | 1 | 1 | 2 | |
멕시코 | 1 | 1 | ||
몰도바 | 1 | 1 | ||
몽골 | 1 | 1 | 2 | |
몬테네그로 | 1 | 1 | ||
모로코 | 1 | 1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 2 | 1 | 3 | |
노르웨이 | 2 | 2 | 16 | 20 |
파키스탄 | 1 | 1 | ||
폴란드 | 2 | 2 | 3 | 7 |
포르투갈 | 1 | 1 | ||
루마니아 | 2 | 1 | 3 | |
러시아 출신 | 2 | 2 | 8 | 12 |
세르비아 | 1 | 1 | ||
슬로바키아 | 2 | 2 | 1 | 5 |
슬로베니아 | 2 | 2 | 4 | 8 |
대한민국 | 2 | 2 | 4 | |
스페인 | 2 | 2 | ||
스웨덴 | 2 | 2 | 16 | 20 |
스위스 | 2 | 2 | 9 | 13 |
태국 | 1 | 1 | 2 | |
토고 | 1 | 1 | ||
통가 | 1 | 1 | ||
튀르키예 | 2 | 1 | 3 | |
우크라이나 | 2 | 2 | 4 | |
미국 | 2 | 2 | 16 | 20 |
총 65개국 | 93 | 69 | 151 | 313 |
남자
편집기준 | 나라당 참가선수 | 총 선수 | 출전국 |
---|---|---|---|
상위 300위 | 2 | 58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라루스 불가리아 캐나다 중화인민공화국 크로아티아 체코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리투아니아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출신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미국 |
기본쿼터 | 1 | 33 | 안도라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벨기에 버뮤다 볼리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덴마크 에콰도르 영국 그리스 헝가리 인도 이란 아일랜드 일본 키르기스스탄 라트비아 레바논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공화국 멕시코 몰도바 몽골 몬테네그로 파키스탄 포르투갈 세르비아 태국 통가 |
IOC 특별 숙고 | 2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총합 | 93 |
여자
편집기준 | 나라당 참가선수 | 총 선수 | 출전국 |
---|---|---|---|
상위 300위 | 2 | 48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라루스 캐나다 중화인민공화국 크로아티아 체코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라트비아 노르웨이 폴란드 러시아 출신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대한민국 스웨덴 스위스 우크라이나 미국 |
기본쿼터 | 1 | 22 |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브라질 불가리아 칠레 영국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이란 일본 리투아니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몬테네그로 몽골 루마니아 태국 토고 튀르키예 |
IOC 특별 숙고 | 1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총합 | 70 |
잔여 쿼터
편집나라별 선수 | 총합 | 출전국 |
---|---|---|
16 | 48 | 노르웨이 스웨덴 미국 |
15 | 15 | 핀란드 |
12 | 12 | 독일 |
11 | 11 | 이탈리아 |
9 | 18 | 프랑스 스위스 |
8 | 8 | 러시아 출신 |
7 | 7 | 캐나다 |
6 | 6 | 체코 |
5 | 5 | 벨라루스 |
4 | 4 | 슬로베니아 |
3 | 12 |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카자흐스탄 폴란드 |
2 | 4 |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
1 | 1 | 슬로바키아 |
총합 | 151 |
- 독일이 총 세 명분의 쿼터를 반납했으며, 오스트리아와 일본이 받아갔다. 이후 러시아 팀이 8명분을 반납하였다. 이 모든 변동 과정이 해당 목록에 반영되어 있다.
참가 가능성 국가
편집총 열다섯명 분의 쿼터가 재배정된다. 특히 러시아 출신 선수들의 대거 탈락으로 8명분을 반납한 데 대해 재배정이 실시되었다. 굵은 글씨는 쿼터를 배정받은 국가, 취소선은 쿼터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표명한 국가.
Next available NOC |
각주
편집- ↑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PDF). 국제 크로스컨트리 연맹. 2016년 3월 9일.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Olympic quota list”.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North Korea will send 22 athletes to Pyeongchang”. BBC.com. 201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Cross-Country and Alpine Skier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o compete in PyeongChang 2018”. fis-ski.com. 2018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