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2022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종목은 2022년 2월 8일에 장자커우시 겐팅 스노파크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2022년 동계 올림픽 남자 평행대회전 스노보드 | ||||||||||
---|---|---|---|---|---|---|---|---|---|---|
![]() 2022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평행대회전 | ||||||||||
개최국 | 중화인민공화국 | |||||||||
개최 도시 | 장자커우시 | |||||||||
개최 기간 | 2022년 2월 8일 | |||||||||
경기장 | 겐팅 스노파크 | |||||||||
참가국 | 12개국 | |||||||||
참가 선수 | 31명 | |||||||||
메달리스트 | ||||||||||
| ||||||||||
« 2018 2026 » |
경기 일정
편집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1]
날짜 | 요일 | 시간 | 구분 | 비고 |
---|---|---|---|---|
2022년 2월 8일 | 화요일 | 11:07 | 남자 평행대회전 예선 런 | |
12:01 | 남자 평행대회전 토너먼트 예선 런 | |||
14:48 | 남자 평행대회전 16강 | |||
15:15 | 남자 평행대회전 준준결승 | |||
남자 평행대회전 준결승 | ||||
남자 평행대회전 스몰 파이널 | 동메달 결정전 | |||
남자 평행대회전 빅 파이널 | 금메달 결정전 |
참가 자격
편집참가 자격 | 국가 수 | 합계 | 진출권 획득 국가 |
---|---|---|---|
계 | 12개국 | 31명 |
예선
편집2월 8일 화요일 12시 01분
- Q - 본선 진출
순위 | 순번 | 이름 | 국가 | 블루 코스 | 레드 코스 | 합계 | 비고 |
---|---|---|---|---|---|---|---|
1 | 4 | 이상호 | 대한민국 | 39.96 | 40.58 | 1:20.54 | Q |
2 | 15 | 베냐민 카를 | 오스트리아 | 41.21 | 40.04 | 1:21.25 | Q |
3 | 2 | 안드레아스 프로메거 | 오스트리아 | 40.34 | 41.03 | 1:21.37 | Q |
4 | 10 | 팀 마스트나크 | 슬로베니아 | 40.24 | 41.19 | 1:21.43 | Q |
5 | 20 | 오스카르 크비아트코프스키 | 폴란드 | 40.63 | 40.89 | 1:21.52 | Q |
6 | 6 | 롤란트 피슈날러 | 이탈리아 | 40.25 | 41.34 | 1:21.59 | Q |
7 | 19 | 미하우 노바치크 | 폴란드 | 40.92 | 40.72 | 1:21.64 | Q |
8 | 1 | 드미트리 로기노프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41.31 | 40.38 | 1:21.69 | Q |
9 | 21 | 빅 와일드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41.10 | 40.96 | 1:22.06 | Q |
10 | 5 | 알렉산더 파이어 | 오스트리아 | 41.26 | 40.84 | 1:22.10 | Q |
11 | 9 | 잔 코시르 | 슬로베니아 | 41.55 | 40.61 | 1:22.16 | Q |
12 | 8 | 미르코 펠리체티 | 이탈리아 | 40.89 | 41.37 | 1:22.26 | Q |
13 | 23 | 야니크 앙게넨트 | 독일 | 41.41 | 40.87 | 1:22.28 | Q |
14 | 13 | 다리오 카비에첼 | 스위스 | 41.92 | 40.43 | 1:22.35 | Q |
15 | 22 | 라도슬라프 얀코프 | 불가리아 | 41.48 | 41.00 | 1:22.48 | Q |
16 | 12 | 다니엘레 바고차 | 이탈리아 | 41.18 | 41.30 | 1:22.48 | Q |
17 | 11 | 에드빈 코라티 | 이탈리아 | 41.22 | 41.27 | 1:22.49 | |
18 | 3 | 슈테판 바우마이스터 | 독일 | 41.24 | 41.40 | 1:22.64 | |
19 | 16 | 안드레이 소볼레프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41.39 | 41.48 | 1:22.87 | |
20 | 32 | 쥘 르페브르 | 캐나다 | 41.66 | 41.28 | 1:22.94 | |
21 | 14 | 네빈 갈마리니 | 스위스 | 41.17 | 42.27 | 1:23.44 | |
22 | 27 | 비예 | 중화인민공화국 | 42.10 | 41.43 | 1:23.54 | |
23 | 7 | 루카스 마티스 | 오스트리아 | 41.66 | 42.09 | 1:23.75 | |
24 | 18 | 김상겸 | 대한민국 | 42.40 | 41.41 | 1:23.81 | |
25 | 26 | 로크 마르구치 | 슬로베니아 | 42.29 | 42.09 | 1:24.38 | |
26 | 25 | 아르노 고데 | 캐나다 | 42.17 | 42.26 | 1:24.43 | |
27 | 31 | 세바스티앵 볼리외 | 캐나다 | 42.52 | 42.00 | 1:24.52 | |
28 | 30 | 잔 카사노바 | 스위스 | 42.33 | 42.80 | 1:25.13 | |
29 | 28 | 코디 윈터스 | 미국 | 45.47 | 42.33 | 1:27.80 | |
30 | 29 | 엘리아스 후버 | 독일 | 42.15 | 49.01 | 1:31.16 | |
31 | 24 | 로버트 번스 | 미국 | 46.23 | 49.99 | 1:36.22 | |
17 | 드미트리 카를라가체프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완주 실패 |
본선
편집2월 8일
16강 | 8강 | 4강 | 결승 | ||||||||||||||
4 | 마스트나크 (SLO) | ||||||||||||||||
13 | 앙게넨트 (GER) | +0.27 | 4 | 마스트나크 (SLO) | |||||||||||||
5 | 크비아트코프스키 (POL) | 5 | 크비아트코프스키 (POL) | DNF | |||||||||||||
12 | 펠리체티 (ITA) | DNF | 4 | 마스트나크 (SLO) | |||||||||||||
9 | 와일드 (ROC) | 9 | 와일드 (ROC) | +0.48 | |||||||||||||
8 | 로기노프 (ROC) | DNF | 9 | 와일드 (ROC) | |||||||||||||
1 | 이상호 (KOR) | 1 | 이상호 (KOR) | +0.01 | |||||||||||||
16 | 바고차 (ITA) | +0.92 | 2 | 카를 (AUT) | |||||||||||||
2 | 카를 (AUT) | 4 | 마스트나크 (SLO) | +0.82 | |||||||||||||
15 | 얀코프 (BUL) | +0.36 | 2 | 카를 (AUT) | |||||||||||||
10 | 파이어 (AUT) | 10 | 파이어 (AUT) | +1.57 | |||||||||||||
7 | 노바치크 (POL) | +0.09 | 2 | 카를 (AUT) | |||||||||||||
6 | 피슈날러 (ITA) | 3 | 피슈날러 (ITA) | DNF | |||||||||||||
11 | 코시르 (SLO) | DNF | 6 | 피슈날러 (ITA) | 3·4위전 | ||||||||||||
3 | 프로메거 (AUT) | 3 | 프로메거 (AUT) | +0.51 | 9 | 와일드 (ROC) | |||||||||||
14 | 카비에첼 (SUI) | +0.16 | 6 | 피슈날러 (ITA) | DNF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2022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남자 평행대회전 일정”. 2022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2022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