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아이오도티로나민
3-아이오도티로나민(영어: 3-iodothyronamine, T1AM)은 내인성 티로나민이다. 3-아이오도티로나민은 최근에 발견된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인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인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1(TAAR1)에 대한 고친화성 리간드이다.[1][2] 3-아이오도티로나민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강력한 내인성 TAAR1의 작용제이다.[3] 3-아이오도티로나민에 의한 TAAR1의 활성화는 다량의 cAMP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체온 및 심박출량과 관련이 있다.[4] 우(Wu) 등은 이러한 관계가 내분비계의 전형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하고, TAAR1의 활성이 일부 조직의 G 단백질과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고, 3-아이오도티로나민이 다른 수용체의 하위 유형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3]
이름 | |
---|---|
우선명 (PIN)
4-[4-(2-Aminoethyl)-2-iodophenoxy]phenol | |
별칭
T1AM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211.501 |
PubChem CID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4H14INO2 | |
몰 질량 | 355.17 g/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3-아이오도티로나민은 음성 근수축 효과를 유도하고, 심박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심장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전달 경로의 일부일 수 있다.[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canlan T, Suchland K, Hart M, Chiellini G, Huang Y, Kruzich P, Frascarelli S, Crossley D, Bunzow J, Ronca-Testoni S, Lin E, Hatton D, Zucchi R, Grandy D (2004). “3-Iodothyronamine is an endogenous and rapid-acting derivative of thyroid hormone”. 《Nat. Med.》 10 (6): 638–42. doi:10.1038/nm1051. PMID 15146179.
- ↑ Hart M, Suchland K, Miyakawa M, Bunzow J, Grandy D, Scanlan T (2006).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agonist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thyronamines and related analogues”. 《J. Med. Chem.》 49 (3): 1101–12. doi:10.1021/jm0505718. PMID 16451074.
- ↑ 가 나 Wu SY, Green WL, Huang WS, Hays MT, Chopra IJ (2005). “Alternate Pathways of Thyroid Hormone Metabolism”. 《Thyroid》 15 (8): 943–958. doi:10.1089/thy.2005.15.943. PMID 16131336.
- ↑ “New compound may act to keep thyroid activity in check”. 2008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Chiellini G, Frascarelli S, Ghelardoni S, Carnicelli V, Tobias SC, Debarber A, Brogioni S, Ronca-Testoni S, Cerbai E, Grandy DK, Scanlan TS, Zucchi R (2007). “Cardiac effects of 3-iodothyronamine: a new aminergic system modulating cardiac function”. 《The FASEB Journal》 21 (7): 1597–608. doi:10.1096/fj.06-7474com. PMID 17284482.
외부 링크
편집- 의학주제표목 (MeSH)의 3-iodothyronam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