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40307 d
HD 40307 d는 화가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42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항성 HD 40307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다. 발견 방법으로는 도플러 분광법이 사용되었으며, 라 실라 천문대 소재 HARPS 망원경을 관측 도구로 썼다. d는 HD 40307 주위를 도는 행성들 중 가장 질량이 크다. 이 행성은 어머니 항성이 상대적으로 중원소 함량이 작다는 사실에서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다.
HD 40307 d | |
모항성 | |
---|---|
이름 | HD 40307 |
별자리 | 화가자리 |
적경 | 05h 54m 04.2409s[1] |
적위 | −60° 01′ 24.498″[1] |
거리 | 41.8 ± 0.3 광년(12.83 ± 0.09)[1] |
형태 | K2.5 V[1] |
궤도요소 | |
평균거리(AU) | 0.134[2] |
이심률 | 0.0[2] |
공전주기 | 20.46 ± 0.01 일[2] |
물리적 특징 | |
질량 | 9.2 지구질량[2] |
발견 정보 | |
발견일 | 2008년 6월 16일 |
발견자 | 마이클 메이어 연구진 |
발견방법 | 시선속도법, HARPS 사용 |
발견지역 | ![]() |
상태 | 발견 사실 공표됨[2] |
외계 행성 목록 |
발견 편집
HD 40307 d는 도플러 분광법을 통해 발견되었다. 이는 행성이 항성을 돌면서 중력적으로 항성을 좌우로 흔드는 것을 스펙트럼을 통해 감지해 내는 것이다.[3] 시선 속도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 소재 라 실라 천문대의 HARPS 분광사진기를 이용하여 쟀다. 나머지 두 행성 HD 40307 b와 HD 40307 c도 같은 방법으로 발견되었다.[3] HD 40307 d와 다른 행성들의 발견 사실은 2008년 6월 16일~18일 사이 프랑스 낭트에서 개최되었던 천체물리학 컨퍼런스에서 발표되었다.[3]
궤도 및 질량 편집
HD 40307 d의 질량은 최소 지구의 9.2배로 행성계의 세 행성 중 가장 무겁다. 이는 HD 40307 b의 두 배가 넘는 값이다.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0.134 천문단위로 d의 1년은 지구 시간으로 20.46일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d는 세 행성들 중 항성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다.[2] 행성의 궤도 이심률은 거의 0에 가까운데, 이는 행성과 항성의 거리가 행성의 1년에 걸쳐 거의 변화가 없음을 뜻한다.[2]
어머니 항성 HD 40307의 중원소 함량은 다른 외계 행성의 주인들보다 낮은데 이는 다소 특이한 상황이다. 이 사실은 “항성이 태어날 때의 중원소 함량이 자신의 강착 원반으로부터 가스 행성이나 암석 행성이 탄생할지 아닐지 여부를 결정짓는다.”라는 가설을 지지한다.[2]
특징 편집
이 행성은 시선속도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기 때문에 조성 물질, 반지름, 겉모습, 표면 온도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4]
항성에 가까운 행성을 도는 자연 위성은 조석력에 의해 파괴되기 쉽다는 이론에 따르면, HD 40307 d가 위성을 거느리고 있을 확률은 희박해 보인다.[5]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 가 나 다 라 “HD 40307”.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8. 다음 글자 무시됨: ‘18 June 2008 ’ (도움말)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M. Mayor, S. Udry, C. Lovis, F. Pepe, D. Queloz, W. Benz, J.-L. Bertaux, F. Bouchy, C. Mordasini, D. Segransan.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III. A planetary system with 3 Super-Earths (4.2, 6.9, & 9.2 Earth masses)”. 《 Submitted to Astronomy & Astrophysics》. Bibcode:2008arXiv0806.4587M. 다음 글자 무시됨: ‘2008-06-30’ (도움말)
- ↑ 가 나 다 “Trio of 'super-Earths' discovered”. 《BBC news》. 2008년 6월 16일. 다음 글자 무시됨: ‘2008-06-16’ (도움말);
|공저자=
는|저자=
를 필요로 함 (도움말) - ↑ Characterizing Extrasolar Planets, Timothy M. Brown, chapter 3, Extrasolar Planets: XVI Canary Islands Winter School of Astrophysics, edited by Hans Deeg, Juan Antonio Belmonte, and Antonio Aparicio,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ISBN 0-521-86808-4.
- ↑ Barnes, J., O'Brien, D. (2002). “Stability of Satellites around Close-in Extrasolar Giant Planet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5 (2): 1087 – 1093. doi:10.1086/341477.
외부 링크 편집
- (영어) “HD 40307”. 《Exoplanets》. 2016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21일에 확인함.
- (영어) “HD 40307 d”. 《Exoplanets》. 2012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