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구겐하임 어워드

LG 구겐하임 어워드(영어: LG Guggenheim Award)LG그룹과 세계적인 현대 미술관인 구겐하임이 중장기 글로벌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신설한 국제 예술상이다. LG와 솔로몬 R. 구겐하임 재단(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이 함께 매년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예술 작품을 선보이며 혁신적인 작품 활동을 하는 아티스트를 선정하여 10만 달러를 지원한다. LG와 구겐하임은 2022년 6월 1일 뉴욕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이 상의 제정을 처음으로 알렸다. LG와 구겐하임은 “기술이 삶에 긍정적인 경험을 전하는 매개이며, LG 구겐하임 어워드가 현대미술 분야의 혁신적인 예술가들을 후원해 글로벌 미술계의 새로운 장을 여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라며 상을 제정한 취지를 설명했다.

LG 구겐하임 어워드
LG Guggenheim Award
LG 구겐하임 어워드
주최솔로몬 R. 구겐하임 재단
후원㈜LG
웹사이트lgartssponsorship.lg.co.kr

LG 구겐하임 어워드는 매년 국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친다. 심사위원단의 구성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뮤지엄의 관장, 큐레이터, 학자 및 예술가들로 구성된다.

2023년 제1회 LG 구겐하임 어워드는 인공 지능(AI)과 증강 현실(AR) 등의 기술을 활용한 작품을 통해 인공 지능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유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해온 뉴욕 스토니브룩대 교수이자 아티스트 스테파니 딘킨스(Stephanie Dinkins)가 받았다.

2024년 제2회 LG 구겐하임 어워드는 넷 아트(Net Art) 분야의 선구자로 꼽히는 대만 출신의 미국 작가 슈리칭(Shu Lea Cheang)이 받았다.

LG 구겐하임 글로벌 파트너십 편집

2022년 6월 1일 발족한 LG 구겐하임 글로벌 파트너십(LG Guggenheim Art & Technology Initiative)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3사가 공동 후원한다. 혁신적인 예술가들을 후원해 글로벌 미술계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기여하고, LG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작품 활동, 전시, 연구 등을 지원해 현대미술계에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시한다.

㈜LG는 LG 구겐하임 어워드를 신설한다. LG전자는 신진 작가의 창작을 지원하며, 또 뉴욕 구겐하임에서 AI, AR/VR, NFT 등 디지털 기술 기반의 예술 분야 연구를 지원을 위해 신설 된 전임 큐레이터(LG Electronics Associate Curator)를 후원한다. LG디스플레이는 뉴욕의 젊은 예술 후원자 협회가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주최하는 연례 YCC(Young Collector’s Council) 파티를 후원한다.

1. LG 구겐하임 어워드 편집

LG 구겐하임 글로벌 파트너십의 대표 프로그램인 LG 구겐하임 어워드는 매년 기술을 활용해 혁신적인 예술 작품 활동을 펼쳐 현대 미술계 지평을 확대하는데 기여한 아티스트에게 트로피와 10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하는 국제 예술상이다.

수상자는 국제적인 위상을 갖춘 뮤지엄 관장, 큐레이터, 학자와 예술 전문가들이 모인 심사 위원회가 선발한다.

LG는 이 상을 제정하면서 LG 구겐하임 어워드는 기술과 예술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예술가의 열정과 영감 그리고 메시지가 개인과 사회에 깊은 감동으로 전달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2023 편집

수상자 : 스테파니 딘킨스 (Stephanie Dinkins)

2023년 제1회 LG 구겐하임 어워드의 수상자는 인공 지능(AI)과 증강 현실(AR) 등의 기술을 활용한 작품을 통해 인공 지능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유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해온 뉴욕 스토니브룩대 교수이자 아티스트 스테파니 딘킨스(Stephanie Dinkins)이다.

딘킨스의 대표작으로는 <비나48과의 대화 (Conversations with BINA48)>라는 영상 작품이 있다. 이 작품은 실존하는 흑인 여성 비나 로스블랫(Bina Rothblatt)을 모티브로 해 제작한 AI 로봇 ’비나48(Bina48)’과 딘킨스 간의 대화를 통해 AI가 학습하는 정보에 인종, 성별, 장애, 문화적 배경 등의 다양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심사단

국제적 위상을 갖춘 뮤지엄의 관장, 큐레이터, 학자 및 아티스트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윤리와 사회적 형평성에 중점을 두고,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의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는 그녀의 포괄적이고 협력적인 방식은 AI 기술에 대한 투명성, 참여 및 접근성을 강력하게 합니다. 특히 AI로 인해 남용될 위험이 가장 큰 커뮤니티에서 이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AI 기술을 둘러싼 공개 담론이 점점 더 많은 사람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우리는 딘킨스의 업적과 방향을 높게 평가합니다”라고 언급했다.

시상 행사 : 구겐하임 수석 큐레이터 나오미 벡위스(Naomi Beckwith, Deputy Director and Jennifer and David Stockman Chief Curator),  LG전자 북미지역 대표 윤태봉 부사장, (주)LG 브랜드담당 박설희 수석전문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제 1회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가 ‘2023 YCC 파티’에서 발표 됐다.

관련 활동 : 2024년 1월 25일, 제1회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인 스테파니 딘킨스가 본인의 신작 3점을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공개하며, 아티스트 토크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작가는 <The Stories We Tell Our Machines, work in progress>, <WisdomBot, 2023>, <Not the Only One Avatar image 2023 brain (N’TOO), 2018-ongoing> 3점을 공개했으며, 행사에는 약 400명 넘는 관객이 참여했다.

2024 편집

수상자 : 슈 리 칭 (Shu Lea Cheang)

2024년 제 2회 LG 구겐하임 어워드의 수상자는 넷 아트(Net Art,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디지털 예술)의 선구자이자 VR, 소프트웨어 디자인, 코딩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젠더, 인종, 정치 등 사회적 이슈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아티스트 슈리칭(Shu Lea Cheang)이다.

슈리칭은 1954년의 대만계 미국인으로, 90년대 후반 작품에서부터 대체 화폐, 블록 체인, 바이오 테크 등 미래 사회를 예견하는 남다른 시야를 보여왔다. 대표 작품으로는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최초로 영구 소장한 웹 기반 작품의 <브랜드 (Brandon, 1998-1999)>이 있으며 구겐하임 뮤지엄 외에도 그녀의 다양한 작품들이 뉴욕 현대미술관 (MoMA NY), 휘트니 뮤지엄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파리 퐁피두 센터(centre pompidou) 등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2018 광주 비엔날레, 2019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대만을 대표했으며 2022년 울산시립미술관 개관 특별전에 히토 슈타이얼(Hito Steyerl), 백남준, 카미유 앙로(Camille Henrot) 등 세계적 미디어 아티스트와 함께 작품을 선보였다.

인종과 젠더 등 도발적인 주제와 미래를 예견하는 듯한 통찰로 미술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2002년 선보인 인터넷 기반의 실험미술 작품 <갈릭=리치 에어(Garlic=Rich Air)>에는 오늘날의 비트코인을 연상시키는 대안 화폐가 등장하기도 했다.

심사단

심사단은 “물리적 영역과 디지털 영역 사이의 침투성을 제시하며 청중이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고 평가했다.

시상 행사 : 구겐하임 수석 큐레이터 나오미 벡위스, 정규황(Chris Jung) LG전자 북미지역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2024년 4월 2일 뉴욕의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진행 됐다.

관련 활동 : 2024년 5월 2일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LG 전자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 노암 시걸(Noam Segal, LG Electronics Associate Curator)과 함께 아티스트 토크를 진행했다. 퍼포먼스 렉쳐로 진행된 이 행사는 ‘What the Heck: Shu Lea Cheang on Hacking Tactics, Virus Becoming, and Geek Farming’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Physical Award 편집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디지털 기술을 대표하는 '0'과 '1' 두 숫자의 형태가 다이나믹하게 교차하는 순간을 포착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새로워지는 '미래의 예술'을 형상화 했다.

이진법의 구성 요소는 놀랍도록 단순하지만 이것이 증강현실이나 인공지능 같은 경이로운 테크놀로지들을 가능케 했듯이, 트로피에는 두 숫자의 형태가 교차하는 순간을 포착해 조형적으로 구성했다. 트로피 디자인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메달을 개발한 이석우 디자이너가 참여했다.

 
 

Visual Identity 편집

LG와 구겐하임 뮤지엄은 협력을 의미하는 ‘곱하기(x)’기호와 ‘예술’과 ‘기술’의 융합 을 의미하는 ‘더하기(+)’기호를 활용해 디자인한 ‘LG 구겐하임 어워드’ 비쥬얼 아이덴티티를 개발했다.

 
 
 
 

2. 연구 지원 편집

LG전자는 2023년 3월부터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디지털 기술 기반의 예술 분야 연구를 담당하는 전임 큐레이터(LG Electronics Associate Curator)를 후원하고 있다. 이 포지션에는 노암 시걸 박사가 선임되었고, 그녀는 기술을 활용한 전시 활동 및 신진 작가 발굴에 기여하는 연구 활동에 매진한다.

큐레이터를 맡아 ‘LG 구겐하임 글로벌 파트너십’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노암 시걸(Noam Segal) 박사는 지난 1월 열린 스테파니 딘킨스의 최신 작품 전시와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선정 등에 참여한다.

또한, 이니셔티브 연구 지원의 일환으로 학술조직위원회를 구성해 해당 위원회를 통해 신체, 예술, 과학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이론과 미디어 추상 개념과 관련 된 연구를 진행한다. 위원회에서 논의 된 내용은 2026년~2027년을 목표로 뉴욕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대규모 프레젠테이션을 진행 할 예정이며 기술 기반의 더 다양한 작품이 포함되고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3. 프로그램/전시 지원 편집

퍼블릭 프로그램 <Late Shift x 스테파니 딘킨스> 편집

LG 구겐하임 어워드 2023 수상자 스테파니 딘킨스는 2024년 1월 25일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열린 퍼블릭 프로그램 <Late Shift x 스테파니 딘킨스>에서 LG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새 작품을 선보였다. 97인치형 올레드 에보(evo)를 비롯해,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포제(Posé), 투명 올레드 사이니지 등 올레드 디스플레이 총 7대가 스테파니 딘킨스의 신작에 활용됐다.

퍼블릭 프로그램 <What The Heck> 편집

LG 구겐하임 어워드 2024 수상자 슈리칭은 2024년 5월 2일 구겐하임 뮤지엄 지하에 위치한 피터 비 루이스 극장(Peter B. Lewis Theater)에서 퍼포먼스 렉처 <What The Heck>를 진행했다. 렉처의 제목인 ‘왓더헥’은 ‘해킹(Hacking)’과 ‘헥(Heck)’의 발음상에 유사성을 활용했다. 슈리칭과 LG 구겐하임 글로벌 파트너십의 전임 큐레이터 노암 시걸 박사와 대담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기술 기반 아트 전시 편집

2027년에는 파트너십을 통해 연구, 발굴한 내용을 총망라하는 대규모 기술 기반의 전시회가 열릴 예정이다.

4. 창작 지원 편집

구겐하임 뮤지엄이 매년 가을 신예 아티스트(Emerging Artist)를 한 명 선정하고, 이들이 OLED TV를 활용해 작품 활동을 진행하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같은 LG의 기술력을 활용해 상상과 창조를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3년 아티스트 콜라보레이션 편집

파라 알 카시미 (Farah Al Qasimi): 아랍에미리트(UAE) 출신의 작가 겸 뮤지션인 파라 알 카시미(Farah Al Qasimi)가 신예 아티스트로 선정돼 ‘디지털 파라다이스(Artificial Digital Paradise)’를 콘셉트로 2023 YCC 파티를 꾸몄다.

2024년 아티스트 콜라보레이션 편집

레이첼 로신(Rachel Rossin): 미국 플로리다 출신의 미디어 아티스트 레이첼 로신(Rachel Rossin)은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가속화되는 사회를 의미하는 ‘퀴크닝(Quickening)’ 콘셉트로 2024 YCC 파티를 꾸몄다.

5. 이벤트 지원 편집

LG디스플레이는 매년 봄 뉴욕의 젊은 예술 후원자 협회가 구겐하임 뮤지엄에서 개최하는 자선 행사 YCC(Young collector’s council) 파티를 후원하며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인다.

연례 진행되는 YCC 파티에서는 당 해의 신예 작가가 LG디스플레이의 투명 OLED 와 LG전자의 OLED TV 등 LG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뮤지엄 내부를 꾸민다. 투명 OLED는 LG 디스플레이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양산 중이다. 기존 유리창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투명도가 높고, 가벼우며, 선명한 화질을 구현해 글로벌 디지털 아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외부 링크 편집

  •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로 '넷아트' 선구자 슈리칭 선정[1]
  • LG, 美 구겐하임 뮤지엄서 ‘AI 전시’… 뉴욕 아트계 환호[2]
  • AI의 차별·편견 경고한 딘킨스, 초대 LG-구겐하임 어워드 수상[3]
  • Shu Lea Cheang wins 2024 LG Guggenheim Award[4]
  • Stephanie Dinkins Wins Inaugural LG Guggenheim Award[5]
  • Pioneering AI artist wins inaugural $100,000 award from New York's Guggenheim and LG[6]
  • 미디어아트 지원하는 韓기업, 뉴욕 미술관 풍경 바꿨다[7]
  • 70년 인생, 실험의 연속…예술·기술 경계를 허물다[8]
  • [Herald Interview] Guggenheim Museum makes a push for technology-based art with LG[9]
  • 마늘농사에 마늘화폐 만든 대만의 괴짜 슈리칭의 구겐하임 점령기[10]
  • 인터넷 통달한 칠순의 예술가…"익명에 숨은 범죄자들, 다 나와!"[11]
  • 현실을 침공하는 사이버 혁명가, 슈리칭[12]
  • (HOT PEOPLE)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LG전자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 Noam Segal[13]
  • LG, 美 구겐하임 뮤지엄서 ‘AI 전시’… 뉴욕 아트계 환호[14]
  •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스테파니 딘킨스‘, 평등한 AI 비전과 협력의 힘을 읽다[15]
  • Stephanie Dinkins Named Inaugural Recipient of the LG Guggenheim Award[16]
  • Pioneering AI artist wins inaugural $100,000 award from New York's Guggenheim and LG[17]
  • ‘LG 구겐하임 어워드’ 첫 수상자에 딘킨스[18]
  • LG AI가 디자인한 '파티룩'…뉴요커 "뷰티풀" 환호[19]
  • LG collaborates with Guggenheim Museum on AI art[20]

각주 편집

  1. 황희경 (2024년 3월 5일).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로 '넷아트' 선구자 슈리칭 선정”. 2024년 4월 1일에 확인함. 
  2. 조선일보 (2024년 2월 4일). “LG, 美 구겐하임 뮤지엄서 ‘AI 전시’… 뉴욕 아트계 환호”. 2024년 4월 1일에 확인함. 
  3. 강건택 (2023년 5월 21일). “AI의 차별·편견 경고한 딘킨스, 초대 LG-구겐하임 어워드 수상”. 2024년 4월 1일에 확인함. 
  4. “Shu Lea Cheang wins 2024 LG Guggenheim Award” (영어). 2024년 4월 1일에 확인함. 
  5. Pietroni, David Guido (2023년 5월 21일). “Stephanie Dinkins Wins Inaugural LG Guggenheim Award” (캐나다 영어). 2024년 4월 1일에 확인함. 
  6. “Pioneering AI artist wins inaugural $100,000 award from New York's Guggenheim and LG”. 2023년 5월 18일. 2024년 4월 1일에 확인함. 
  7. “미디어아트 지원하는 韓기업, 뉴욕 미술관 풍경 바꿨다”. 2024년 4월 4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8. “70년 인생, 실험의 연속…예술·기술 경계를 허물다”.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9. Yuna, Park (2024년 4월 26일). “[Herald Interview] Guggenheim Museum makes a push for technology-based art with LG” (영어).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0. “마늘농사에 마늘화폐 만든 대만의 괴짜 슈리칭의 구겐하임 점령기”. 2024년 5월 8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1. “인터넷 통달한 칠순의 예술가…"익명에 숨은 범죄자들, 다 나와!". 2024년 5월 9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2. 김나랑 (2024년 4월 29일). “현실을 침공하는 사이버 혁명가, 슈리칭”.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3. “노암시걸”.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4. 조선일보 (2024년 2월 4일). “LG, 美 구겐하임 뮤지엄서 ‘AI 전시’… 뉴욕 아트계 환호”.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5.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스테파니 딘킨스‘, 평등한 AI 비전과 협력의 힘을 읽다”.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6. “Stephanie Dinkins Named Inaugural Recipient of the LG Guggenheim Award” (영어). 2023년 5월 19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7. “Pioneering AI artist wins inaugural $100,000 award from New York's Guggenheim and LG”. 2023년 5월 18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8. 김지헌 (2023년 5월 22일). “‘LG 구겐하임 어워드’ 첫 수상자에 딘킨스”.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19. “LG AI가 디자인한 '파티룩'…뉴요커 "뷰티풀" 환호”. 2023년 5월 26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 
  20. “LG collaborates with Guggenheim Museum on AI art” (영어). 2024년 1월 30일. 2024년 5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