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기성(光週期性, 영어: photoperiodicity) 혹은 광주성은 낮과 밤의 길이에 따라 일어나는 반응을 말한다. 동물식물에서 발견된다.

광주성과 식물 편집

많은 화훼(花卉)식물들은 피토크롬(phytochrome)이나 크리프토크롬(cryptochrome)과 같은 광수용체 단백질(photoreceptor protein)를 이용해서 밤의 길이에 따른 계절의 변화나 광주성을 감지한다.

광주성 식물 분류 편집

광주성 식물들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단일식물 편집

단일식물(Short-day plants, SDP)는 개화에 있어서 장일식물과는 반대의 일장반응을 보이는 식물로 한계일장 보다 짧은 일장조건에서 개화하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로서 질적 단일식물과 양정 단일식물이 존재한다.

(필수)단일식물 예:

국화
커피
포인세티아
딸기
담배, var. Maryland Mammouth
공통 좀개구리밥, (Lemna minor)
우엉 (Xanthium)
옥수수 - 열대 개량형만 해당

(조건)단일식물 예:

대마 (Cannabis)
(Gossypium)
사탕수수

장일식물 편집

장일식물(Long-day plants, LDP)는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조건에서 개화하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을 말한다. 질적 장일식물과 양적 장일식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질적 장일식물이란 그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일장보다 조금 이라도 짧은 일장조건에서는 전혀 개화하지 않는 식물을 말하며 절대적 장일식물이라고도 한다. 그 반대로 양적 장일식물이란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조건에서는 물론 한계일장보다 조금은 짧은 일장조건에서는 개화가 이루어지며 장일조건이 될 수록 더욱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을 상대적 장일식물이라고도 한다.

(필수)장일식물 예:

카네이션 (Dianthus)
사리풀 (Hyoscyamus)
귀리 (Avena)
독보리 (Lolium)
클로버 (Trifolium)
초롱꽃과 (Campanula carpatica)

(조건)장일식물 예:

완두 (Pisum sativum)
보리 (Hordeum vulgare)
양상추 (Lactuca sativa)
(Triticum aestivum, spring wheat cultivars)
순무 (Brassica rapa)

중성식물 편집

중성식물(Day-neutral plants, DNP)은 한계일장이 없으며 온도조건이 만족되고 생육이 지속되면 계속해서 꽃이 피는 식물을 말한다. 토마토와 같은 경우 시설 내에서 재배시 일장에 관계없이 온도와 양수분의 조건이 만족되는 한 자라면서 계속적으로 개화하고 열매를 맺는다.

중간식물 편집

중간식물(Intermediate plant)은 장일식물이나 단일식물과는 달리 한계일장의 범위 내에서 일장조건을 만족시킬 때 개화하는 식물을 말한다. 즉 약 12시간 내외의 범위에서 주로 개화하는 식물로 한계일장보다 일장이 길거나 짧으면 두 경우에 모두 개화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중간식물을 정일성식물(Definite day - length plant)라고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Plant Science 1》Olga Piedrahita. 나이아가라 대학 출판사. 2008년 출간. 2009년 3월 27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