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모씨(廣州 毛氏)는 한국의 성씨 관향이다.

광주 모씨
廣州 毛氏
나라대한민국
관향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광저우
시조미상
집성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정주
주요 인물모신영, 모원규, 모원봉, 모윤숙, 모기윤
인구(2015년)92명

기원 편집

모씨(毛氏)는 중국 서하(西河,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산서성 하동도 임분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인데,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通報)》에 따르면, 주 문왕이 아들을 모(毛)에 봉하여 ‘모(毛)’를 성(姓)으로 삼았다고 한다.

개요 편집

한국의 광주 모씨는 연원(淵源)은 문헌(文獻)이 없어 시조(始祖) 및 본관 성씨의 유래를 알 수 없다. 다만, 광주 모씨(廣州 毛氏)가 지금의 평안북도 정주군 일원에 대대로 살아왔다고 전해진다.

주요 인물 편집

  • 모윤숙(毛允淑, 1910년 ~ 1990년) : 호는 영운(嶺雲). 함경남도 원산 출생. 모학수(毛鶴壽)의 둘째 딸이다. 1948년 제3차UN총회 한국 대표로 참가하여 정부수립에 외교관으로서 활약하였다. 1949년 월간 순수문예지 ≪문예 藝術≫를 창간하였고, 1951년 이화여자대학에서 강의를 하였다. 1955년 국제펜클럽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고, 1960년 국제 펜클럽한국본부 회장, 1971년 공화당의 전국구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였다. 시집으로는 ≪정경 情景≫(1959)·≪구름의 연가(戀歌)≫(1964)·≪풍토 風土≫(1970) 등이 있고, 서사 시집으로 ≪논개 論介≫(1974), 수필집으로 ≪내가 본 세상≫(1953)·≪포도원≫(1960)이 있으며, ≪모윤숙시전집≫(1974)·≪모윤숙전집≫(1982)·≪국군은 죽어서 말한다≫(1987) 등이 있다. 1962년 대한민국예술원상(공로상)과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 모기윤(毛麒允, 1912년 ~ 1983년) : 모윤숙의 남동생. 1937년 연희전문(延禧專門) 문과(文科) 졸업하여 서울대학·청주대학·수도여사대(首都女師大) 교수 등을 지냈다. 1931년 《조선의 노래》(東亞日報)와 《눈 · 꽃 · 새》(東亞日報)를 발표, 이후 서정적 민족사상(抒情的民族思想)과 인생탐구(人生探究)를 밑바탕으로 하여 많은 작품을 발표해 왔다. 《인생불협화이중주(人生不協和二重奏)》(思想界), 《내 조국(祖國)》, 《사향곡(思鄕曲)》(現代文學), 《세련되지 못한 감정》(現代文學) 등이 대표작이다. 동인지(同人誌)〈조선시단(朝鮮詩壇)〉을 비롯하여 〈글벗〉〈혜성(慧星)〉등을 통해 활동해 왔으며, 한국문협(韓國文協)과 한글학회 이사(理事)등을 역임하였다.
  • 모인필(毛仁筆, 1955년 ~ ) :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인구 편집

  • 2000년 309명
  • 2015년 92명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