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로사(金 로사, 1784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로사(Rosa)이다. 관찬기록에서는 그녀의 이름이 김노사(金老沙)로 나와 있는데, 노사는 그녀의 세례명인 로사로 보인다.

김 로사
순교자
출생1784년
서울
선종1839년 7월 20일
서울 서소문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시복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
시성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축일9월 20일

1839년 6월, 천주교를 병적으로 싫어하던 조병구조선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7월 5일에는 교회를 완전히 박멸하라는 교지가 내려졌다. 그 이후에 순교한 첫번째 인물들은 이미 수감되어 있던 여덟 명의 천주교 신자들이었다. 그들 중 김 로사가 맨 먼저 체포되었다.

생애 편집

김 로사는 1784년한양의 한 비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결혼했지만, 남편과 사별하였다. 그 후에 그녀는 천주교를 믿는 한 친척집에서 살기 시작했는데, 그 때에 교회를 처음 접했다. 비록 늦은 나이였지만, 그녀는 행복한 마음으로 교리를 배우는데 열중했다. 그녀는 똑똑하고 언변이 출중하였으므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가진 신앙의 가치에 대해 잘 이해시킬 수 있었다. 그녀는 그녀의 모친과 오빠에게 신앙의 진리는 다른 사람들을 도와줌으로써 자신의 과거를 속죄하는 것이라고 가르쳤다. 그러므로, 그 가족은 협력하여 교회의 가르침을 실천하며 살 수 있었다.

김 로사는 자신의 신앙에 따라 살며 자주 양심을 성찰했으며 죄를 뉘우치며 끊임없이 기도했다. 그녀는 사제들에 대해 커다란 존경심을 갖고 있었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 일이라면 뭐든지 다했다. 그녀는 교우들의 모범이 되었다.

1838년 1월 16일 한밤중에, 포졸들이 그녀의 집을 포위했지만, 그녀는 어떤 우려도 나타내지 않았다. 오히려 그녀는 마침내 올 것이 왔다며 행복해 했고, 예수마리아의 이름을 부르며 감옥으로 향했다. 감옥에서 그녀는 자신의 신앙을 증언하며 결코 배신하지 않았다. 옥졸들 마저도 그녀의 태도에 감동했다. 그러나, 그녀는 조정의 폭압을 피할 수 없었다. 그녀가 형조 판서와 처음 대면했을 때, 그는 그녀의 앞에 온갖 고문 도구를 늘어놓으며 말했다. "죄인 김노사는 들으라. 우리가 이 도구들을 사용하여 네 다리를 부러뜨리고 네 살가죽을 찢어내기 전에, 너의 천주를 버리고 천주교도들의 이름을 대라." "판서님! 저는 저의 천주를 버릴 수 없습니다. 그분은 우리 모두의 창조주이시며 아버지이십니다. 그분은 미덕을 사랑하시며 죄를 벌하시는데, 제가 어찌 그분을 버릴 수 있단 말입니까? 다른 사람을 해치는 것 또한 죄입니다. 오래 전에 저는 그러한 진리를 위하여 저의 피를 뿌리기로 작정했습니다." "죄인은 내 말을 듣거라. 네 종교의 교리는 어명으로 금지되어 있다. 그런데도 너는 여전히 그 교회에 속하기를 고집하고 있지 않느냐?" "지금 제 육신하느님의 것이기에 앞서 국왕의 손에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들입니다. 당신의 전하께서는 어찌 이 단순한 사실을 모르신단 말입니까?" 판서는 격노하여 그녀에게 사형을 선고하기 전까지 그녀를 극심하게 고문했다. 1839년 7월 20일에 그녀의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때 그녀의 나이 56세였다.

시복 · 시성 편집

김 로사는 1925년 7월 5일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 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고,[1] 1984년 5월 6일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 이뤄진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 품에 올랐다.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이상도 (2014년 7월 24일). “교황, 화해와 평화..8월의 크리스마스되길”. 평화방송. 2014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