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南楊州 興國寺 聖任堂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흥국사 경내를 조금 벗어난 동북쪽 낮은 능선상에 있는 탑이다. 1985년 6월 28일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되었다.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南楊州 興國寺 聖任堂塔)
대한민국 경기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203호
(1985년 6월 28일 지정)
수량1기
시대조선시대
소유흥국사
위치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흥국사
좌표북위 37° 41′ 04″ 동경 127° 05′ 55″ / 북위 37.68444° 동경 127.09861°  / 37.68444; 127.09861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흥국사의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지만 1568년 선조가 덕흥대원군의 원당을 짓고 흥덕사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국왕이 1626년(인조 4년) 다시 제각을 짓는 등 중건하여 절 이름을 '흥국사'라고 내려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후에도 국왕의 지원에 의한 여러번의 중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1]

성임당탑은 경내를 벗어난 동북쪽 낮은 능선 상에 자리잡고 있으며, 원위치로 보인다. 지대석을 제외한 기단부와 옥개석은 팔각으로, 탑신석과 상륜부는 원형으로 신라시대 이래 유행한 팔각원당형 양식을 계승하였다. 이 부도는 석조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탑신석을 원구형으로 마련하여 원구형 부도 양식에 속한다. 기단부의 연화문과 좌우로 길게 뻗은 안상, 높은 옥개석, 연주문이 표현된 상륜부는 건립 시기가 조선후기 임을 알 수 있게 한다.[1]

탑신석 상부에는 '성임당축존지탑'이라는 명문이 있어 주인공 당호가 성임당이며, 법명이 축존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아직 성임당의 행적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아 정확한 건립시기는 알 수 없지만, 부도의 양식과 돌을 다듬는 수법으로 보아 18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부도는 조선후기 경기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성행한 부도들과 친연성을 보이고 있으며, 규모가 대형이다. 따라서 부도의 주인공이 유력한 승려였음도 알 수 있다.[1]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