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기하학에서 단면 곡률(斷面曲率, 영어: sectional curvature)은 특정한 접평면에 대한 방향으로 리만 다양체가 굽는 양을 나타내는 실수이다. 단면 곡률에 상한 또는 하한을 가하면, 리만 다양체의 다양한 미분기하학·미분위상수학적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정의 편집

리만 다양체   위의 점  접공간  의 2차원 부분 벡터 공간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로 기저

 

를 고르자. 접벡터  에 대하여,   방향의 단면 곡률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리만 곡률 텐서이다.   의 기저  방향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

리만 다양체   위에, 2-그라스만 다발  을 정의할 수 있다. 즉, 2-그라스만 다발의  에서의 올은 그라스만 다양체  이다. 이 경우, 단면 곡률

 

은 2-그라스만 다발의 전체 공간 위의 실수매끄러운 함수를 이룬다.

성질 편집

리만 다양체   및 양의 실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리만 계량  에 대하여,   에서의 단면 곡률  는 다음과 같다.

 

즉, 단면 곡률의 단위는 리만 곡률과 마찬가지로 [길이]−2이다.

공간 형식 편집

모든 단면 곡률이 일정한 완비 리만 다양체는 공간 형식(空間形式, 영어: space form)이라고 한다.

모든 연결 단일 연결 공간 형식은 다음 세 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 쌍곡 공간 ( )
  • 초구 ( )
  • 유클리드 공간 ( )

다시 말해, 모든 공간 형식은 쌍곡 공간 · 초구 · 유클리드 공간몫공간들의 분리합집합이다.

슈어 보조정리(영어: Schur’s lemma)에 따르면, 2차원이 아닌 리만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공간 형식이다.
  • 임의의 점   및 임의의  에 대하여  가 되는 함수  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2차원에서 성립하지 않는다. 2차원 이하에서 두 번째 조건은 자명하게 성립하지만, 공간 형식이 아닌 2차원 완비 리만 다양체가 존재한다. (1차원에서 이 정리는 자명하게 성립한다.)

슈어 보조정리의 증명은 다음과 같다. 편의상 지표 표기법을 사용하자. 두 번째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면,

 

가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제2 비안키 항등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괄호  에 속한 성분은 리만 계량  으로 구성되며,  일 경우 항상 0이 아니다. 따라서  이다.

단면 곡률이 하한을 갖는 다양체 편집

완비 리만 다양체   위의, 측지선으로 구성된, 꼭짓점이  인 삼각형  를 생각하자.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  의 모든 단면 곡률이 하한  를 만족시킨다.
  •    사이의 최단 측지선이다.
  • 만약  일 경우,  의 길이    미만이다.

 이 단면 곡률이  인 부피 형식이라고 하고,    속의 측지선으로 구성된 삼각형이라고 하자.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이는 삼각형의 SAS 합동 조건이다.)

  •  
  •  
  •  

그렇다면, 토포고노프 정리(영어: Topogonov theorem)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그로우에-피터슨 유한성 정리(영어: Grove–Petersen finiteness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차원  , 실수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리만 다양체들의 호모토피 유형들의 수는 유한하다.

  • 단면 곡률이  이다.
  • 지름  이하이다.
  • 부피  이상이다.

이는 카르스텐 그로우에(덴마크어: Karsten Grove)와 피터 피터슨(영어: Peter Petersen)이 증명하였다.

단면 곡률이 유계인 다양체 편집

치거 유한성 정리(영어: Cheeger finiteness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자연수   및 상수  에 대하여, 콤팩트  차원 리만 다양체 가운데

  • 단면 곡률이 어디서나  
  • 지름이   이하
  • 부피가   이상

인 것들의 미분 동형류의 수는 유한하다.

매끄러운 다양체  이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리만 계량  을 갖는다면,  거의 평탄 다양체(영어: almost flat manifold)라고 한다.

  • 모든 단면 곡률이  이다.
  • 지름이 1 이하이다.

그로모프 거의 평탄 다양체 정리(영어: Gromov’s theorem on almost flat manifold)에 따르면, 임의의 차원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차원 리만 다양체  에 대하여, 만약  의 모든 단면 곡률이  이라면,  은 거의 평탄 다양체이다.

그로모프-루 정리(영어: Gromov–Ruh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리만 다양체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거의 평탄 다양체이다.
  •  리 군   및 이산군  가 존재하며,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특히, 어떤 영다양체(영어: nilmanifold)  에 의한 유한 겹 피복 공간  이 존재한다.

연결 단일 연결 완비 리만 다양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의 모든 단면 곡률은  를 만족시킨다.

그렇다면, 초구 정리(超球定理, 영어: sphere theorem)에 따르면  은 같은 차원의 초구미분 동형이다. (미분 동형인 것을 증명하는 것은 위상 동형인 것을 증명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 초구 정리는 구간 에서  로 약화시키면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푸비니-슈투디 계량을 준 복소수 사영 공간의 단면 곡률은  이지만, 초구미분 동형을 갖지 않는다.

단면 곡률이 0 이하인 다양체 편집

카르탕-아다마르 정리(영어: Cartan–Hadamard theorem)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연결 단일 연결 완비 리만 다양체  의 모든 단면 곡률이  이라면,  유클리드 공간미분 동형이다. 따라서, 단면 곡률이 0 이하인 완비 리만 다양체의 구조는 그 기본군에 의하여 완전히 결정되며, 이러한 다양체의 기본군에 대해서는 프라이스만 정리(영어: Preissmann’s theorem)라는 정리가 존재한다.

콤팩트 리만 다양체  의 모든 단면 곡률이  이라면,   위의 측지선 흐름은 에르고딕하다. (물론, 원환면의 경우  이지만 이는 성립하지 않는다.)

모든 단면 곡률이  가 되는 완비 리만 다양체  CAT(κ) 공간을 이룬다. 특히, 만약  이라면, 그 기본군  그로모프 쌍곡군(영어: Gromov hyperbolic group)을 이룬다.

단면 곡률이 0 초과인 비콤팩트 다양체 편집

연결 비콤팩트 완비 리만 다양체  의 단면 곡률이 모든 곳에서 0 이상이라고 하자. 영혼 정리(靈魂定理, 영어: soul theorem)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다양체  가 존재한다.

  •  콤팩트 공간이다.
  • (완전 측지성 영어: completely geodesic)   속의 모든 측지선  속의 측지선을 이룬다.
  • (완전 볼록성 영어: completely convex) 임의의  에 대하여,   를 잇는 모든 측지선 에 속한다.
  •   법다발의 전체 공간과 미분 동형이다.

이러한   영혼(靈魂, 영어: soul)이라고 한다.

따라서, 양의 단면 곡률의 완비 리만 다양체의 분류는 콤팩트한 경우의 분류로 귀결된다.

또한, 영혼 추측(영어: soul conjecture)에 따르면, 연결 비콤팩트 완비 리만 다양체  의 단면 곡률이 모든 곳에서 0 이상이며, 또한 모든 방향으로의 단면 곡률이 양수인 점  이 존재한다면,  의 영혼은 한원소 공간이다. 즉,  유클리드 공간미분 동형이다. (이름과 달리, 이는 현재 증명된 정리이다.)

단면 곡률이 0 초과인 콤팩트 다양체 편집

단면 곡률이 어디서나 0 초과인  차원 연결 콤팩트 리만 다양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싱 정리 영어: Synge’s theorem)  은 홀수 차원 가향 다양체이거나, 짝수 차원 단일 연결 가향 다양체이거나, 기본군이 2차 순환군  인 짝수 차원 비가향 다양체이다.
  • (마이어스 정리 영어: Myers’ theorem) 만약  의 단면 곡률의 최솟값 라면,  이다.

그로모프 베티 수 정리(영어: Gromov’s theorem on Betti numbers)에 따르면, 임의의 차원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정수  가 존재한다.

  • 단면 곡률이 어디서나 0 초과인 임의의 연결 콤팩트  차원 다양체  에 대하여,  베티 수들의 합은   이하이다.
     

이러한 다양체의 알려진 예는 드물다.[1]

역사 편집

19세기 편집

슈어 보조정리는 독일의 수학자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슈어(독일어: Friedrich Heinrich Schur, 1856~1932)가 증명하였다.[2][3]:183, Lemma 11.22

카르탕-아다마르 정리는 한스 카를 프리드리히 폰 망골트(독일어: Hans Carl Friedrich von Mangoldt, 1854~1925)가 곡면에 대하여 1881년에 증명하였고, 1898년에 자크 아다마르가 같은 정리를 독자적으로 증명하였다. 이후 엘리 카르탕이 1928년에 이를 임의의 차원의 리만 다양체에 대하여 일반화하였다.

20세기 초 편집

싱 정리는 아일랜드의 수학자 존 라이턴 싱(영어: John Lighton Synge, IPA: [dʒɒn laɪtən sɪŋ], 1897~1995)이 1936년에 증명하였다.[4]

마이어스 정리는 미국의 수학자 섬너 바이런 마이어스(영어: Sumner Byron Myers, 1910~1955)가 1941년에 증명하였다.[5]

20세기 후반 ~ 21세기 편집

토포고노프 정리는 러시아의 수학자 빅토르 안드레예비치 토포노고프(러시아어: Ви́ктор Андре́евич Топоно́гов, 1930~2004)가 증명하였다.[6]

영혼 정리는 1972년에 제프 치거와 데틀레프 그로몰(독일어: Detlef Gromoll)이 증명하였으며,[7] 같은 논문에서 영혼 추측을 추측하였다. 그리고리 페렐만은 1994년에 영혼 추측을 13쪽 밖에 되지 않는 짧은 논문으로 간단히 증명하였다.[8]

미분 동형에 대한 초구 정리는 2007년에 지몬 브렌들레(독일어: Simon Brendle)와 리처드 숀(영어: Richard Schoen)이 증명하였다.[3][9][10][11]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Ziller, Wolfgang (2007). “Examples of Riemannian manifolds with non-negative sectional curvature” (영어). arXiv:math/0701389. Bibcode:2007math......1389Z. 
  2. Schur, Friedrich (1886). “Ueber den Zusammenhang der Räume constanten Riemann’schen Krümmungsmaasses mit den projectiven Räumen”.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27 (4): 537–567. doi:10.1007/BF01906632. ISSN 0025-5831. 
  3. Hopper, Christopher; Andrews, Ben. 《The Ricci flow in Riemannian geometry: A complete proof of the differentiable 1/4-pinching theorem》 (영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Synge, John Lighton (1936). “On the connectivity of spaces of positive curvature”. 《Quarterly Journal of Mathematics (Oxford Series)》 7: 316–320. doi:10.1093/qmath/os-7.1.316. 
  5. Myers, S. B. (1941). “Riemannian manifolds with positive mean curvature”. 《Duke Mathematical Journal》 (영어) 8 (2): 401–404. doi:10.1215/S0012-7094-41-00832-3. 
  6. Toponogov, V. (1964). “Riemannian spaces having their curvature bounded below by a positive number”.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Translations》 37: 291–336. 
  7. Cheeger, Jeff; Gromoll, Detlef (1972년 11월). “On the structure of complete manifolds of nonnegative curvature”.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96 (3): 413–443. doi:10.2307/1970819. ISSN 0003-486X. JSTOR 1970819. MR 0309010. 
  8. Perelman, Grigori (1994). “Proof of the soul conjecture of Cheeger and Gromoll”.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40 (1): 209–212. doi:10.4310/jdg/1214455292. ISSN 0022-040X. MR 1285534. Zbl 0818.53056. 
  9. Brendle, Simon (2010). 《Ricci Flow and the Sphere Theorem》.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11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doi:10.1090/gsm/111. ISBN 0-8218-4938-7. MR 2583938. 
  10. Brendle, Simon; Schoen, Richard (2009). “Manifolds with 1/4-pinched curvature are space forms”. 《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22 (1): 287–307. doi:10.1090/s0894-0347-08-00613-9. MR 2449060. 
  11. Brendle, Simon; Schoen, Richard (2011). “Curvature, Sphere Theorems, and the Ricci Flow”.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8 (1): 1–32. doi:10.1090/s0273-0979-2010-01312-4. MR 273890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