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아뱅 미분

확률론에서, 말리아뱅 미분(Malliavin微分, 영어: Malliavin derivative)은 위너 공간 위에 정의된 실수 값 함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연산이다.[1]:§6 말리아뱅 미분은 바나흐 공간프레셰 미분과 달리, 극한이 오직 위너 공간의 부분 힐베르트 공간의 방향에 대하여 존재하는 것만을 요구한다. 그 에르미트 수반스코로호드 적분(Скороход積分, 영어: Skorohod integral)이라고 하며, 이는 이토 적분의 일반화이다.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위너 공간  
  • 연속 함수  
  • 원소  
  • 원소  

그렇다면,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에서 말리아뱅 미분 가능하다고 하며,   에서의 말리아뱅 미분 라고 한다.[1]:Definition 6.3

힐베르트 내적 위상에서 0으로 수렴하는 임의의 열  에 대하여 ( ),
 

이를

 

로 표기한다.

성질 편집

말리아뱅 미분은 다음과 같은 꼴의 비(非)유계 연산자를 이룬다.

 
 

여기서, 말리아뱅 미분의 정의역

 

은 힐베르트 공간  조밀 집합부분 벡터 공간이다. 또한, 이는 닫힌 작용소이다. 즉, 그 그래프

 

  속의 닫힌집합이다.

스코로호드 적분 편집

말리아뱅 미분은 조밀 집합 위에 정의된 닫힌 작용소이므로, 말리아뱅 미분의 에르미트 수반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역시 조밀 집합 위에 정의된 닫힌 작용소이다. 이를 스코로호드 적분이라고 한다.

이토 적분은 스코로호드 적분의 특수한 경우이다.

역사 편집

말리아뱅 적분은 프랑스의 수학자 폴 말리아뱅(프랑스어: Paul Malliavin, IPA: [pɔl maljavɛ̃])이 도입하였다. 스코로호드 적분은 아나톨리 볼로디미로비치 스코로호드(우크라이나어: Анато́лій Володи́мирович Скорохо́д, 러시아어: Анато́л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корохо́д 아나톨리 블라디미로비치 스코로호트[*], 1930〜2011)가 도입하였다.

참고 문헌 편집

  1. Eldredge, Nathan (2016). “Analysis and probability on infinite-dimensional spaces”. arXiv:1607.0359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