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조잉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12년 7월 25일 (수) 09:05 (KST)답변

박지민 문서 편집 시 편집

위의 서론부의 내용을 아래에 내리셨다면, 지금의 서론 부분을 정리해 주세요. 원래 첫 부분은 해당 인물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이라서, 현재처럼 서술되어 있으면 부적절해 보입니다. 문서 기여에 감사드립니다 :)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0:46 (KST)답변

+ 해당 그림은 카페에서 가져오신 것인가요? 아니면 어디서 가져오신 것인지 질문드려도 될까요?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0:48 (KST)답변

안녕하세요, Sotiale 님. 어제부터, 말씀해주신 다른 분들의 위키백과 페이지를 참조하여 틀 생성 및 내용 정리 작업을 하였습니다. 말씀해주신 서론 부분은 방금 간략하게 네줄 정도로 정리 완료하였습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적절한지 확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언급하신 그림은 카페에서 가져온게 맞으며, 카페의 회원님께서 직접 그리신 그림으로 해당 회원님의 허락후 가져왔습니다. 괜찮겠지요? --Bless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1:13 (KST)답변
네. 직접 그리신 그림이라면 무관합니다. 단, 저작자가 저작자를 표기하는 조건으로 재배포, 수정, 영리적 목적의 이용까지 전부 허가해 주신 게 맞나요? 그리고 제시하신 서론 부분은 간략하게 정리가 되어서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1:38 (KST)답변
일단 해당 회원님의 그림을 위키백과에 등재해도 괜찮겠냐는 허락을 구했었고 회원분께서는 카페에 올린 자료는 카페 소유 아니겠냐면서 괜찮다고 말씀은 해주셨는데 Sotiale님의 말씀을 들으니 좀 더 명확하게 다시 말씀을 드릴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 '저작자를 표기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도 저작자(해당 회원)분이 허락하시면 가능한게 맞겠죠? --Bless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1:42 (KST)답변
네. 저작자가 저작자를 표기하는걸 원한다면 그렇게 해도 되고, 아예 전세계적으로 맘대로 쓸 수 있도록 퍼블릭 도메인 선언을 시켜도 좋습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1:43 (KST)답변
위키백과:저작권에 따른 이용이 가능해야 함을 의미하며, 그에 따른 저작권은 여러가지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관련해서 저작권 틀의 종류는 분류:위키백과 그림 저작권 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람 (논의) 2012년 7월 26일 (목) 21:44 (KST)답변
저작자를 표기하도록 하는 라이선스를 쓰고 싶다고 하시면 그렇게 해도 되고, 저작자 표기도 필요없다 하면 다른 라이선스를 택할 수도 있습니다. 단, 수정 및 영리이용과 재배포는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1:46 (KST)답변
설명 감사합니다. 해당 그림이 팬카페 소유가 될 경우, 팬카페 차원의 동의를 거쳐서 위키백과:저작권에 맞는 라이선스를 선택한 후 올릴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괜찮을까요? --Bless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2:31 (KST)답변
법적으로 명확히 카페의 소유라면, 그 카페의 동의를 받으면 될 것입니다. 그런데, 현재 업로드된 파일의 저작권을 이미 CC-BY-SA 3.0으로 하셨던데, 이는 허락 없이 명시한 것입니까? 저것이 말하는 게 바로 수정, 재배포를 포함한 영리적 이용 가능을 의미하는 것인데 말이죠. --가람 (논의) 2012년 7월 26일 (목) 22:35 (KST)답변
아니요, 법적으로 해당 그림은 카페 소유가 맞으며 제가 현재 카페의 대표로(운영진) 위키백과 내용을 작성 및 수정중이기 때문에 허락 없이 명시한 것은 아닙니다. 카페의 동의를 얻은 것으로 인정될 경우 해당 그림을 등재해도 될까요?--Bless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2:42 (KST)답변
네. 대신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수정 및 재배포, 영리조건의 사용 등이 다 가능하도록 합의가 되어야 합니다.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2:56 (KST)답변
옙. 설명 감사합니다. 해당 그림은 법적으로 카페소유가 확실하며 다시 한번 '수정 및 재배포, 영리조건의 사용'등에 관한 재확인 과정을 거친후 합의가 되었다면 그 시점에 그림을 다시 등재해도 괜찮겠지요? --Bless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3:06 (KST)답변
네, 그리고 카페 소유로 저작자를 밝힐 것인지, 아니면 퍼블릭 도메인으로 아무 조건 없이 배포할 것인지도 질의해 주세요. --Sotiale (토론) 2012년 7월 26일 (목) 23:13 (KST)답변

좋은 사진 자료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일:PARKJIMIN.png에 CC-BY-SA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고 명시하였지만 출처에는 CC-BY-SA 3.0 라이선스 표시는 없고 오히려 "2012 COPYRIGHT @ JYP CORP. ALL RIGHTs RESERVED."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CC-BY-SA 3.0으로 배포되는 사진이 맞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12월 2일 (일) 20:37 (KST)답변

Bless 님께... 편집

안녕하세요? 아사달(Asadal)입니다. 처음 인사 드립니다.

위키백과에 좋은 문서를 기여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현재 박지민 문서 등이 삭제 토론 중인데요. 제가 볼 때 전혀 삭제의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사용자들이 과도한 기준을 내세우면서 삭제하자고 하고 있는데요. 이번 일로 너무 놀라거나 한국어 위키백과를 멀리 하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저도 올해 1월에 처음 활동을 시작한 사람으로서, 제가 쓴 문서들이 삭제 토론에 여러 차례 회부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위키백과 가입 초기에 느꼈던 그 기분을 Bless 님도 그대로 느끼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니 가슴이 아파옵니다. 사실 당시에 제 기분은 정말 황당(!)했습니다. 그래도 인내심을 가지고 토론 상대방을 꾸준히 설득했고, 결국 몇 개는 삭제되었고, 몇 개는 유지가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정신적 고통(?)도 참 많았지만, 잘 참고 견뎌내었습니다. Bless 님은 카페 동회회의 회장님이신 것 같은데, 이번 일로 너무 마음 쓰지 마시고, 다 잘 될 것이라고 믿고 한국어 위키백과를 사랑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수개월 전에 제가 그러했듯이 잘 이겨내시리라 봅니다. 저도 지나치게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한국어 위키백과의 현재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7일 (화) 23:52 (KST)답변

안녕하세요 Asadal 님, 이렇게 찾아주셔서 감사하단 말부터 드립니다. 더불어 따뜻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처음 위키백과를 접했을때에는 당황스러웠던 것이 사실입니다. 위키백과:저명성의 기준에 대해서 각 사용자, 중재위원 님들마다 기준이 다른듯해 보였고, 제 상식선에선 '저명성'을 충족한다고 생각하는 부분이었지만 실제로 위키백과:저명성의 조항을 기준으로 판단해보면 아닌경우도 많았구요. 그러나 제가 위키백과의 정의와 의의에 대해서 알지못하고 제 선입견(?)대로만 잘못 판단했던 부분들이 가장 컸던것 같습니다. 그러한 과정이 있었기에 위키백과에 대해서 좀 더 배울수 있는 계기가 된 것도 사실이구요. 삭제토론을 발의하신 분을 포함하여 의견의 방향이 어떠하든 의견을 내주시는 분들께서도 그 결과야 어떻든 간에 알찬 한국 위키백과를 만들기 위해 활동하시는 것이란 점은 모두의 공통분모일테니까요. 저야 인물 박지민이 아사달님께서 위키백과:저명성 개념에 대해 말씀하신것 처럼 '다양한 2차출처를 통한 언급'과 '미래의 활동이 보장'되 있다는 점에서 위키백과:저명성을 충족하고 위키백과 등재 문서들의 '필요조건'인 '볼거리'도 수정작업을 통해 충족되었다고 생각합니다만 다른 사용자분들께서는 다르게 생각하실수도 있고 또 그 분들의 지적과 의견에 따라서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나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족한 점이 많겠지만 많은 지적과 충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less (토론) 2012년 8월 8일 (수) 01:06 (KST)답변

친절 반스타 편집

  친절 반스타
박지민 문서에 대한 삭제 토론에서 좋은 의견을 주신 점에 대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초보자에게 친절한 위키백과"가 되도록 함께 노력하시기를 바라며 이 반스타를 드립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01:43 (KST)답변

위키백과에 대한 오해 편집

안녕하세요, 엔조잉님,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가지 말씀 드릴 게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기여하시기 앞서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는 신문이 아닙니다.,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는 정보를 무분별하게 모으는 곳이 아닙니다를 참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4:58 (KST)답변

제가 박지민 문서에 '해외 유명인사 및 언론매체로부터의 언급'이라는 탭을 작성한 이유는 박지민 문서가 삭제토론에 회부됬을 당시 박지민의 저명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어서 박지민에 관한 2차 출처를 제시하고 그 출처를 밝힘이 목적이었습니다. 애슈튼 커쳐, 에릭 베넷등의 해외 유명인사뿐만이 아닌 CNN, 스페인,중국의 뉴스매체 등에 출연, 소개된 사실 역시도 '2차 출처'가 아닌 '무분별한 정보'에 해당된다면 삭제하는데 대한 이견이 없습니다. 그러나 제가 박지민 문서를 편집할 당시에는(일주일~이주일 정도 전입니다.) 다른 의견이 없으시다가 이 문서에 대한 삭제 토론이 많은 사용자분들에 의해'유지'결정이 나오고 난후에, 문서에 대해 '삭제'의견을 내주셨던 사용자 2분에 의해 이러한 삭제가 시행됬다는 점에서 그 본의도가 어떻든 간에 심히 유감을 표합니다. --Bless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5:03 (KST)답변
위키백과는 단순 정보를 나열하는 곳이 아닙니다. 나열식으로 되어 있는 것들을 백과사전의 서술답게 문장으로 고치고, (위키백과는 소개, 홍보를 위한 장소는 아니기 때문에) 단락을 "해외 소개 및 유명 인사 언급"이 아닌, "평가" 또는 "사회적 인식" 등으로 바꾸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 일부 뉴스 보도 항목들에 "출연"이라고 등재하셨는데 뉴스 보도를 보면 해당 인물은 뉴스에 출연하지 않았습니다. 뉴스 보도가 되었을 뿐이지요. 이는 엔조잉님의 독자 연구로 간주될 수 있으니 적절한 단어로 수정될 필요가 있습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5:09 (KST)답변
제 단어 선택에 오류가 있었음을 인정합니다. Ykhwong 님 처럼 제가 편집한 문서에 대해 개선의 의견을 포함해서 내주셨다면 저 역시 수긍하고 문서수정 작업을 하였을 것입니다. 다만 제가 박지민 문서를 편집한 시점은 2주일전이고 그 계기는 타 사용자분으로부터 서술식으로 분류없이 나열된 정보들을 보기좋게 정리하는게 좋을것 같다는 의견에 수긍했기 때문입니다. 이틀정도를 투자해서 문서를 편집하였고 삭제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별다른 이의가 없다가 삭제토론 결정이 '유지'로 결정되고 나서, '유지'의견이 아니었던 분들에 의해 아무런 문서 개선 의견이 없이 제 편집이 삭제되버린데 대해 심히 불편함을 느끼는 것입니다. 위키백과의 규정에도 무분별한 삭제편집보다는 문서를 개선하는 방향이 옳다고 작성되어있는 조항을 보았습니다. Ykhwong 님의 의견에 저 역시 동의하며 문서수정작업을 거칠것입니다만 제가 불쾌감을 느끼는 이유와 현 시점에 삭제편집을 시행한 두분의 본의도에 대한 의구심을 떨칠수 없다는 점 역시 이해가 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Bless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5:17 (KST)답변
Ykhowong 님이 안내해주신 것처럼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적으로 서술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무분별하게 모우거나 신문 기사를 정리하는 공간은 아닙니다. 저명한 인사들이 언급한 발언들을 나열하는 것은 백과사전을 만드는 프로젝트인 위키백과보다, 발언이나 어록, 문구를 인용하고 모우는 프로젝트인 위키인용집을 이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듯 싶습니다. 또한 위키백과 문서의 본문 내용(일반 문서 이름 공간)들은 근본적으로 백과사전적으로 서술하기 위한 공간이지, 저명성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처럼 저명성을 입증하기 위한 2차 출처를 나열하는 것은 문서 본문이 아니라 토론 공간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5:22 (KST)답변

이곳은 한국어 위키백과이므로, 박지민 문서 서술 중 영어로 된 문장이 있으면 괄호로 의미를 한국어로도 병기하여 주세요. 이는 한국어를 할줄 아는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을 위한 배려입니다. 예를 들어, 놀랍다는 의미의 This is AMAZING을 모든 한국어 화자가 이해한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또, 한국어 위키백과는 독자가 "대한민국의 국민"만이 아닙니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모든 국가(북한이나 중국의 조선족 등도 모두 포함함)를 포괄합니다. 해당 글에 포함된 "국내"라는 표현은 조선족이 볼 때에는 "중국"을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국내" 보다는 "대한민국" 등 명확한 표기를 부탁 드립니다. --ted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5:52 (KST)답변

Ykhwong 님의 지적에 대해 동의하며 해당 부분들을 현재 지침에 맞게끔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Bless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5:54 (KST)답변

개인적으로는, 이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 목적으로 되돌렸다, 라고 폄하하고 편협적인 사람으로 치부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심히 불쾌한 감정을 지울 수 없습니다. 저는 해당 삭제 토론의 발의자였고, 의견을 모으기 위해 삭제 토론을 연 사람이었을 뿐, 삭제를 하고자 악을 쓴 사람이 아닙니다. 그렇게 의도를 왜곡하고 해석하시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합니다. --가람 (논의) 2012년 8월 12일 (일) 15:58 (KST)답변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박지민 문서를 2주전에 편집하였습니다. '가람'님께서도 아시다시피 문서 정리가 필요하다는 타 위키백과 사용자분의 의견에 동의하여 문서정리를 한 것이고 이는 '가람'님께서도 보신 내용입니다. 그러나 '가람'님께서는 저의 문서 편집에 대해 삭제토론에서 '당장의 삭제를 피하기 위한 급조 행위일뿐' 이라고 왜곡하시고 평가절하 하시더군요? 더불어 제가 편집할당시에는 '가람'님께서는 '사진'에 관련된 의견만을 제시해주셨을 뿐 다른 편집 내용에 대한 언급이 없으시다가 삭제토론이 '유지'로 결정되고 난 후에 제 편집을 되돌리셨습니다. 삭제는 'Againaway'님께서 근거를 덧붙여 하셨으나 저 역시 편집을 해놓은 근거가 있었으며, '가람'님께서는 'Againaway'님의 의견에 편승하여 제 편집을 되돌린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물론 제가 편집할 당시에는 해당 내용의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셨다가 삭제토론이 '유지'로 결정되고 난 후 'Againaway'님의 언급을 통해 발견하셨을 수도 있습니다만, 두 분께서 박지민문서의 '유지'결정에 대해 반대했던 유일한 분들이라는 점에 근거해 볼 때, 두 분의 편집에 대한 의구심을 완전히 떨쳐버리기가 힘들군요. 시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보아도 이러한 내용은 삭제토론이 '유지'로 결정나기 전 의견제시가 가능했던 사안이고, 토론을 거칠 수 있었음은 분명한데 말입니다. 그것과 더불어 개선이 있을 수 있는 내용이고, 삭제보단 문서의 개선을 요구하는게 위키백과의 규정에서 장려하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문서의 개선'에 대한 일언반구의 언급도 없이 '삭제'를 바로 강행하신 점도 두분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무엇보다도 저의 행위에 대한 지적을 하시기 전에, 저의 편집에 대해 공개적으로 왜곡하시고, 폄하, 평가 절하하신 부분에 대해 먼저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는 그 누구라도 심히 불쾌감을 느낄만한 행위입니다.--Bless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6:0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