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학습중입니다. 편집

소소한 편집을 시도해보면서 기능을 익혀가고 있습니다.


심리학 전공자입니다. 편집

위키백과 심리학 관련 문서들을 편집하고 싶은 욕구가 강합니다.

심리학은 과학이 되기 위한 투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현대 심리학은 잘 정립된 과학적 방법론을 따르는 것을 매우 강조합니다.

다만 많은 유사과학, 비과학들이 과학적 권위를 얻고자 심리학 또는 심리 라는 용어를 차용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위키백과를 통해 심리학에 대해 알아가려는 분들은 이런 점을 꼭 기억하시고 분별력있게 받아들이셨으면 합니다.


편집 우선 순위 문서 목록 편집

  • 기억
  • 번역할 원문 가져오기

Memory is the faculty of the brain by which information is encoded, stored, and retrieved when needed.

기억은 정보를 부호화하고 저장하고 필요시 재생할 수 있는 뇌의 기능(능력)이다.

Memory is vital to experiences, it is the retention of information over time for the purpose of influencing future action.[1]

기억은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정보를 보존하는 것으로 경험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If we could not remember past events, we could not learn or develop language, relationships, or personal identity.[2]

우리가 만약 과거 사건을 기억하지 못한다면, 언어나 인간관계, 개인의 정체성을 학습하거나 발달시킬 수 없을 것이다.

Often memory is understood as an informational processing system with explicit and implicit functioning that is made up of a sensory processor, short-term (or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3] This can be related to the neuron. The sensory processor allows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world to be sensed in the form of chemical and physical stimuli and attended to various levels of focus and intent. Working memory serves as an encoding and retrieval processor. Information in the form of stimuli is encoded in accordance with explicit or implicit functions by the working memory processor. The working memory also retrieves information from previously stored material. Finally, the function of long-term memory is to store data through various categorical models or systems.[3]

Explicit and implicit functions of memory are also known as declarative and non-declarative systems.[4][5] These systems involve the purposeful intention of memory retrieval and storage, or lack thereof.

Declarative, or explicit, memory is the conscious storage and recollection of data.[6] Under declarative memory resides semantic and episodic memory. Semantic memory refers to memory that is encoded with specific meaning,[2] while episodic memory refers to information that is encoded along a spatial and temporal plane.[7][8][9] Declarative memory is usually the primary process thought of when referencing memory.[2]

Non-declarative, or implicit, memory is the unconscious storage and recollection of information.[10] An example of a non-declarative process would be the unconscious learning or retrieval of information by way of procedural memory, or a priming phenomenon.[2][10][11] Priming is the process of subliminally arousing specific responses from memory and shows that not all memory is consciously activated,[11] whereas procedural memory is the slow and gradual learning of skills that often occurs without conscious attention to learning.[2][10]

Memory is not a perfect processor, and is affected by many factors. The ways by which information is encoded, stored, and retrieved can all be corrupted. The amount of attention given new stimuli can diminish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becomes encoded for storage.[2] Also, the storage process can become corrupted by physical damage to areas of the brain that are associated with memory storage, such as the hippocampus.[4][12] Finally, the retrieval of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can be disrupted because of decay within long-term memory.[2] Normal functioning, decay over time, and brain damage all affect the accuracy and capacity of the memory.[13][14]

Memory loss is usually described as forgetfulness or amnesia.[15][16][17][18][19][20]

다루고 싶은 개념 목록 편집

  • 지각 항등성(perceptual constancy)

감각기관이 받아들이는 정보는 순간순간 변화무쌍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안정적인 지각 경험을 이루어 냅니다. 지각 항등성은 이러한 지각적 특성을 표현하는 용어입니다.

  • 절대역(absolute threshold)

감각기관을 통해 지각 가능한 최소 수준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암실 속에서 탐지해낼 수 있는 최소 밝기나 탐지 가능한 최소 음량(dB)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최소식별차이(JND)

2019년 4월 현재, 정신물리학에서 다루고 있으나 사용된 용어들로 미루어 볼 때 해당 문서가 오래된 출처를 참고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절대역과 달리 최소식별차이는 특정 수준에서 구분할 수 있는 최소 수준 차이를 의미합니다. 베버-페히너의 법칙은 다양한 수준에서 나타나는 최소식별차이(JND)에 대한 함수관계를 표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