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줄끈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끈

힘줄끈(chordae tendineae, tendinous cords, 구어체에서는 heart strings) 또는 건삭(腱索)은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끈으로, 꼭지근심장방실판막(삼첨판승모판)을 연결한다.[1][2]

힘줄끈
힘줄끈은 판막심근에 연결한다.
꼭지근과 힘줄끈
정보
식별자
라틴어chordae tendineae cordis
영어chordae tendineae
MeSHD002815
TA98A12.1.00.023
TA24047, 4069
FMA76527

구조 편집

힘줄끈은 심실의 구조물로 방실판막(삼첨판승모판)을 꼭지근으로 연결한다.[2] 판막의 각 첨판에 여러 개의 힘줄끈이 붙는다.[3] 힘줄끈은 특히 말초 부위와 같이 손상되기 쉬운 부위에 엘라스틴을 포함하고 있다.[4]

토다로 힘줄 편집

토다로 힘줄(tendon of Todaro)은 아래대정맥판막심장정맥굴판막이 연속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심장정맥굴이 열리는 지점과 삼첨판의 사이막첨판(septal cusp), 토다로 힘줄이 코흐 삼각형을 구성한다. 코흐 삼각형의 꼭대기에 방실결절이 위치한다.[5]

기능 편집

 
심장과 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 힘줄끈이 보인다.

심방수축기 동안 혈액은 압력 차이를 따라 심방에서 심실로 흐른다. 방실판막이 이때 열리므로 힘줄끈은 이완한다.[6]

심실은 심실 수축기 동안 수축하며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양쪽 방실판막은 거의 동시에 밀리며 닫히게 된다. 이 덕분에 혈액이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심방의 혈압은 심실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 판막은 심방 쪽으로 뒤집히지 않는다. 힘줄끈이 긴장하여 판막을 당기고 닫힌 채로 유지하여 판막의 탈출증을 방지한다.[6]

임상적 중요성 편집

힘줄끈 파열 편집

심장판막증으로 인해 힘줄끈이 파열될 수 있다.[7] 힘줄끈이 파열되면 심각한 승모판 역류로 이어질 수 있다.[7][8]

낙하산 승모판 편집

승모판의 모든 힘줄끈이 하나의 꼭지근에만 붙으면 낙하산 승모판(parachute mitral valve)이 발생한다.[9][10][11] 이로 인해 어린 나이에 승모판 협착이 생긴다.[10] 낙하산 승모판은 희귀한 선천성 심장병으로,[11] 종종 승모판 역류의 원인이 되지만 아무 증상도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10]

추가 이미지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Hacking, Craig. “Chordae tendineae”. 《Radiopaedia》. 
  2. Faletra, Francesco F.; Narula, Jagat (2017년 1월 1일), Ellenbogen, Kenneth A.; Wilkoff, Bruce L.; Kay, G. Neal; Lau, Chu-Pak, 편집., “2 - Imaging of Cardiac Anatomy”, 《Clinical Cardiac Pacing, Defibrillation and Resynchronization Therapy (Fifth Edition)》 (영어) (Elsevier), 15–60쪽, doi:10.1016/b978-0-323-37804-8.00002-x, ISBN 978-0-323-37804-8, 202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3. Lane, Rondall; Schulman, Peter M. (2007년 1월 1일), Parsons, Polly E.; Wiener-Kronish, Jeanine P., 편집., “Chapter 30 - Valvular Heart Disease”, 《Critical Care Secrets (Four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Mosby), 191–199쪽, doi:10.1016/b978-1-4160-3206-9.10030-8, ISBN 978-1-4160-3206-9, 202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4. Green, EM; Mansfield, JC; Bell, JS; Winlove, CP (2014년 4월 6일). “The structure and micromechanics of elastic tissue.”. 《Interface Focus》 4 (2): 20130058. doi:10.1098/rsfs.2013.0058. PMC 3982448. PMID 24748954. 
  5. McGuire, Mark A.; Johnson, David C.; Robotin, Monica; Richards, David A.; Uther, John B.; Ross, David L. (1992년 9월 15일). “Dimensions of the triangle of Koch in humans”.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영어) 70 (7): 829–830. doi:10.1016/0002-9149(92)90574-I. ISSN 0002-9149. 
  6. Karas, S.; Elkins, R. C. (1970). “Mechanism of Function of the Mitral Valve Leaflets, Chordae Tendineae and Left Ventricular Papillary Muscles in Dogs”. 《Circulation Research》 26 (6): 689–96. doi:10.1161/01.RES.26.6.689. PMID 5422929. 
  7. Vaideeswar, P.; Butany, J. (2016년 1월 1일), Buja, L. Maximilian; Butany, Jagdish, 편집., “Chapter 12 - Valvular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Pathology (Fourth Edition)》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485–528쪽, ISBN 978-0-12-420219-1, 202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8. Reece, T. Brett; Fullerton, David A. (2009년 1월 1일), Harken, Alden H.; Moore, Ernest E., 편집., “Chapter 76 - Mitral Regurgitation”, 《Abernathy's Surgical Secrets (Six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Mosby), 387–390쪽, doi:10.1016/b978-0-323-05711-0.00076-8, ISBN 978-0-323-05711-0, 202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9. Llewelyn, Rhys. “Parachute mitral valve”. 《Radiopaedia》. 
  10. Boutsikou, Maria; Li, Wei (2018년 1월 1일), Gatzoulis, Michael A.; Webb, Gary D.; Daubeney, Piers E. F., 편집., “6 - Echocardiograph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 (Third Edition)》 (영어) (Elsevier), 41–76쪽, doi:10.1016/b978-0-7020-6929-1.00006-x, ISBN 978-0-7020-6929-1, 202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11. Tay Lik Wui, Edgar; Yip, James W. L.; Li, Wei (2011년 1월 1일), Gatzoulis, Michael A.; Webb, Gary D.; Daubeney, Piers E. F., 편집., “5 - Echocardiograph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 (Second Edition)》 (영어) (Saint Louis: Churchill Livingstone), 28–43쪽, doi:10.1016/b978-0-7020-3426-8.00005-8, ISBN 978-0-7020-3426-8, 202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12. “UOTW #75 - Ultrasound of the Week”. 《Ultrasound of the Week》. 2016년 11월 4일.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