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𝒩=2 초등각 장론

양자장론에서, 2차원 초등각 장론(二次元超等角場論, 영어: two-dimensional superconformal theory)은 두 개의 초대칭을 가지는 2차원 등각 장론이다. 끈 이론거울 대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𝒩=2 초등각 대수 편집

2차원   초등각 대수의 생성원은 다음과 같다.[1]

기호 이름 무게   U(1) R대칭 전하  
  에너지-운동량 텐서 2 0
  초전류 3/2 ±½
  R대칭 보존류 1 0
  중심 원소 0 0

통상적으로,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 위의 시그마 모형의 경우,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복소수 차원에 해당한다.

이들의 연산자 곱 전개는 다음과 같다.[2]:(2.1) 여기서   에서 비특이항을 뜻한다.

 
 
 
 
 
 
 

모드 전개 편집

  대수의 생성원은 다음과 같은 모드 전개를 갖는다.[2]:(2.2)

 
 
 

여기서 NS 경계 조건의 경우  이며 R 경계 조건의 경우  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교환자를 갖는다.[1]:178, (5.14)[2]:(2.3)[3]:(1.1)

c는 모든 원소와 가환
 
 
 
 
 
 
 

대역적 대수 편집

NS 대수에서,  ,  ,  ,  ,  는 부분 리 초대수를 이룬다. 이는 대역적으로 정의되는 초등각 대칭  이다. 이 리 초대수의 보손 성분  는 각각 R대칭 및 (정칙) 등각 대칭에 대응한다.

R 대수에서,  ,  ,  ,  는 부분 리 초대수를 이루며, 다음과 같다.

 
 
 

이는 콤팩트 리만 다양체에서  ,  ,  가 이루는 대수와 같다.

표현 편집

베르마 가군 편집

비라소로 대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등각 대수의 기약 표현은 초1차장(超一次場, 영어: superprimary field) 위에 사다리 연산자들의 작용으로 구성된다. 초1차장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초등각 대수 기약 표현의 나머지 장들은 다음과 같이 표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인 것은

 

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 것은 라몽 대역 초등각 대수  의 작용을 대각화시켜, 초1차장  에 대하여 항상 다음이 성립하도록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유니터리 초1차장의 범위 편집

 
    NS 초등각 대수의 유니터리 초1차장들의 가능한 범위는 회색으로 칠해진 범위 및 굵은 실선이다. 굵은 실선과 그 점선 연장은  으로 정의되며, 가는 실선 포물선은  에 의하여 정의된다.
 
    R 초등각 대수의 유니터리 초1차장들의 가능한 범위는 회색으로 칠해진 범위 및 굵은 실선이다. 굵은 실선과 그 점선 연장은  으로 정의되며, 가는 실선 포물선은  에 의하여 정의된다.

다음과 같은 함수들을 정의하자.

 
 
 
 
 
 
 
 

   반평면에 직선을 정의하며,    반평면에 포물선을 정의한다.

그렇다면,   대수의 유니터리 표현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다.[4][5][6][7]

  범위 NS 조건 R 조건
유질량 표현      
무질량 표현      
최소 모형의 표현    ,  ,    ,  ,  

 일 경우, 유질량 · 무질량 유니터리 표현이 존재한다. 유질량 표현의 경우 카츠 행렬식이 양수이며, 따라서 유니터리 표현이다. 무질량 표현의 경우 카츠 행렬식이 0이다.  일 경우, 가능한 유니터리 표현들은   최소 모형에 등장하는 것들이다.

특히,  에서  이라고 한다면,

 

이므로, 항상

 

가 성립한다. 즉, NS 경계 조건에서는

 

이며 ( ), R 경계 조건에서는

 

이다 ( ). NS (반)손지기장 또는 R 바닥 상태는 위 부등식을 포화시킨다.

 이 되는 점들은 다음과 같은 포물선 위에 위치한다.

 

즉, 유질량 초1차장들은 이 포물선의 상부  에만 존재할 수 있다.

c=3인 경우 편집

유니터리 표현의 분류는  인 경우에 단순해진다. 이 중심 전하는 자유 보손 · 페르미온 이론의 중심 전하와 같다. 이 경우,

 
 
 

이므로, 유질량 표현은 존재하지 않으며, 무질량 표현들은 다음과 같다.

 
 

BPS 상태 편집

NS 초1차장 가운데 만약

 

인 상태  가 있다면,

 

이 된다. 이는 BPS 상태의 일종이며, + 부호일 경우 손지기장(영어: chiral field), − 부호일 경우 반손지기장(영어: antichiral field)이라고 한다. 유니터리 NS (반)손지기장의 경우   조건에 의하여

 

이다.[8]:378

특별한 경우로, 진공  일 경우에는

 

이다.

라몽 초1차장 가운데, 만약  일 경우,

 

이 성립한다. 이는  과 같은 조건이다. 이 역시 BPS 상태의 일종이며, 이러한 상태를 라몽 바닥 상태(영어: Ramond ground state)라고 한다. 유니터리 라몽 초1차장의 경우   조건에 의하여

 

이다.

초공간 편집

2차원   초대칭은 초공간  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9]:271–276 이 경우, 보손 좌표  복소평면  로 여겨, 복소수 좌표  로 적을 수 있으며, 페르미온 좌표도 두 개의 반가환 복소수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이다. 이 경우,   은 각각 스핀  를 갖는다. 즉, 이는 국소적으로 복소수 외대수

 

을 갖는 환 달린 공간이다.

일반적 초장

 

와 같이,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공변 초미분  ,  을 정의하면 손지기 초장(영어: chiral superfield)

 

반손지기 초장(영어: antichiral superfield

 

뒤틀린 손지기 초장(영어: twisted chiral superfield)

 

뒤틀린 반손지기 초장(영어: twisted antichiral superfield)

 

이 존재한다. 이들은   초등각 대칭에서, 정칙 초등각 대수에 대하여 (반)손지기장이자 반정칙 초등각 대수에 대하여 손지기장인 초등각 대수 기약 표현을 나타낸다.

성질 편집

위상 뒤틀림 편집

정칙   초등각 장론이 주어졌을 때, 그 힐베르트 공간   위에

 

이므로, 이를 사용하여 코호몰로지를 정의할 수 있다. 즉,  BRST 연산자로 간주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위상 양자장론을 얻게 되고, 이 경우 살아남는 상태들은

 

인 것들, 즉 ( 인 경우) 손지기장 또는 ( 인 경우) 반손지기장이다. 이들은 BPS 상태이며, 각각 손지기환(영어: chiral ring) 및 반손지기환(영어: antichiral ring)이라는 등급 가환환을 이룬다.

비정칙   초등각 장론이 주어졌을 때에는 서로 동치이지 않는 두 개의 위상 뒤틀림이 존재하며, 다음과 같다.[9]:403

 
 

이 경우, A-뒤틀림은

 

인 것들을 남기고 (ac환 영어: ac ring), B-뒤틀림은

 

인 것들을 남긴다 (cc환 영어: cc ring). 여기서 ‘a’와 ‘c’는 (반)손지기(영어: (anti)chiral)의 영어 머릿글자이다. aa환과 cc환이 서로 동형이며, ac환과 ca환이 서로 동형이다.

스펙트럼 흐름 편집

  NS 대수 및 R 대수는 사실 서로 동형이며, 이 동형을 스펙트럼 흐름(영어: spectral flow)이라고 한다.

스펙트럼 흐름은 어떤 연속 매개변수  에 대한 유니터리 변환으로 구현되며,  라면 이는 NS 경계 조건에서 R 경계 조건으로 가는 변환이며,  이라면 이는 NS 또는 R 경계 조건에서의 자기 동형을 이룬다. 이에 따라, 등각 무게와 R대칭 전하는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1]:186, (5.35)

 
 

스펙트럼 흐름 아래

 

는 불변량이다. 즉, 다음과 같이 로런츠 변환과 유사하게 작용한다.

 

여기서

 

이므로,

 

이다.

이에 따라,  일 때 손지기장   인 R 바닥 상태로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인 경우, 손지기장  는 반손지기장  으로 대응된다.

         
손지기장   라몽 바닥 상태   반손지기장  
손지기장   라몽 바닥 상태   반손지기장  
손지기장   라몽 바닥 상태   반손지기장  

모듈러 불변성 편집

  초등각 장론이 주어졌을 때, R대칭에 대한 퓨가시티

 
 
 
 

를 삽입하여, 다음과 같은 분배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모듈러 군의 S변환

 

아래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10]

 

즉, S변환에 대하여 복소수 위상을 얻는다.

이와 유사하게, R 경계 조건에서 페르미온 수  를 삽입하여, 다음과 같은 타원 종수(楕圓種數, 영어: elliptic genus)를 정의할 수 있다.[11][12]:(2.1)

 

이는 위튼 지표의 일반화이며,   에 대하여 정칙 함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시킨다.[12]:(2.4), (2.5), (2.6)

 
 

따라서, 타원 종수는 무게 0, 지표  의 약한 야코비 형식을 이룬다.

편집

자유 이론 편집

2차원   초등각 장론의 가장 간단한 예는 자유 입자로 구성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을 가지며, 정칙 이론의 경우, 존재하는 비라소로 1차장은 다음과 같다.

경계 조건 무게   R대칭 전하   설명
1 0 1 진공
NS   3/2 +1 초전류
NS   3/2 −1 반초전류
NS   1 0 R대칭 보존류
NS   ½ +1 페르미온
NS   1 0 보손
NS   ½ −1 반페르미온
NS   1 0 반보손
R   −½ 라몽 바닥 상태
R   ½ 라몽 바닥 상태

이 이론은 진공 밖에, 하나의 손지기 초1차장  과 하나의 반손지기 초1차장  를 갖는다. 즉, 손지기환은  동형이다.

이들로부터 정의되는   대수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13]:240 복소수 보손  의 실수 · 허수 성분의 모드 전개를 각각  ,  이라고 하고, 복소수 페르미온  의 모드 전개를  라고 하자. 이들은 다음과 같은 교환 관계를 만족시킨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초등각 대수를 구성할 수 있다.

 
 
 
 

최소 모형 편집

 인 일련의   최소 모형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정칙 이론들이며, 비정칙   모듈러 불변 최소 모형들은 일종의 ADE 분류에 따라 분류된다.[14]

잉여류 모형 편집

단순 리 군   및 닫힌 부분군  가 주어졌으며,  이며,  중심의 차원이 양수일 때, 잉여류 공간  콤팩트 켈러 다양체이며, 그 위에 가자마-스즈키 모형(영어: Kazama–Suzuki model)이라는   등각 장론을 정의할 수 있다.[15] 이는 가자마 요이치(일본어: 風間 洋一)와 스즈키 히사오(일본어: 鈴木 久男)가 도입하였다.

시그마 모형 편집

복소수  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 위에 정의된 2차원 시그마 모형   초등각 장론을 이룬다.

임의의 초다중항은 왼쪽 손지기인지 여부와 오른쪽 손지기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16][17]

  • 0-BPS 상태. 즉, 왼쪽 손지기도, 오른쪽 손지기도 아니다. 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기하학적 (비(非)위상수학적) 성질로부터 결정된다.
  • ¼-BPS 상태. 왼쪽 손지기이지만 오른쪽 손지기가 아니거나, 그 반대이다. 이는 타원 종수로부터 결정된다.
  • ½-BPS 상태. 왼쪽 · 오른쪽 손지기이다. 이는 위상 뒤틂으로 얻어지는 (c,c) 또는 (a,c) 환에 속하며, 이러한 상태의 수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호지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타원 종수는 야코비 형식을 이루는데, 낮은 차원 ( )의 경우 이러한 야코비 형식의 벡터 공간은 1차원이며, 따라서 호지 수로부터 완전히 결졍된다.[17]

응용 편집

  초등각 장론은 초끈 이론에서 4차원   진공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1]:191–192

역사 편집

1976년에 초끈 이론에서 최초로 발견되었고,[18] 1977년에 빅토르 카츠가 같은 대수를 독자적으로 재발견하였다.[3][19] 그 유니터리 표현들은 1986년에 분류되었다.[4] 이후 1988년에 NS 대수와 R 대수가 스펙트럼 흐름으로 서로 동형임이 밝혀졌다.[2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lumenhagen, Ralph; Plauschinn, Erik (2009). 《Introduction to conformal field theory with applications to string theory》 (영어). Springer. Bibcode:2009LNP...779.....B. doi:10.1007/978-3-642-00450-6. ISBN 978-3-642-00449-0. MR 2848105. Zbl 1175.81001. 
  2. Warner, Nicholas Philip (1993년 8월). 〈N=2 supersymmetric integrable models and topological field theories〉. E. Gava, K. S. Narain, S. Randjbar-Daemi, E. Sezgin, Q. Shafi. 《High Energy Physics and Cosmology: Proceedings of the 1992 Summer School in High Energy Physics and Cosmology, ICTP, Trieste, Italy, 15 June – 31 July 1992》. ICTP Series in Theoretical Physics (영어) 9. World Scientific. 143쪽. arXiv:hep-th/9301088. Bibcode:1993hepc.conf..143W. doi:10.1142/1974. 
  3. Gato-Rivera, Beatriz (2002). 〈Recent results on   superconformal algebras〉. Engin Arık.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Wigner Symposium, 16-20 Aug 1999, Istanbul, Turkey》 (영어). 이스탄불: Boğaziçi Üniversitesi Yayınevi. arXiv:hep-th/0002081. Bibcode:2000hep.th....2081G. ISBN 978-975518188-2. 2017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31일에 확인함.  |장=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9) (도움말)
  4. Boucher, Wayne; Friedan, Daniel; Kent, Adrian (1986년 5월 22일). “Determinant formulae and unitarity for the   superconformal algebras in two dimensions or exact results on string compactification” (PDF). 《Physics Letters B》 (영어) 172: 316–322. Bibcode:1986PhLB..172..316B. doi:10.1016/0370-2693(86)90260-1. ISSN 0370-2693. Zbl 1174.81319.  |journal=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8) (도움말); |title=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4) (도움말)
  5. Eguchi, Tohru; Taormina, Anne (1988년 8월 18일). “On the unitary representations of   and   superconformal algebras” (PDF). 《Physics Letters B》 (영어) 210 (1–2): 125–132. Bibcode:1988PhLB..210..125E. doi:10.1016/0370-2693(88)90360-7. ISSN 0370-2693.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35) (도움말)
  6. Iohara, Kenji (2010년 3월). “Unitarizable highest weight modules of the   super Virasoro algebras: untwisted sectors”. 《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91 (3): 289–305. doi:10.1007/s11005-010-0375-7. Zbl 1228.17022.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4) (도움말)
  7. Iohara, Kenji (2008). “Modules de plus haut poids unitarisables sur la super-algèbre de Virasoro   tordue”. 《Annales de l’Institute Fourier》 (프랑스어) 58 (3): 733–754. doi:10.5802/aif.2367. MR 2427508. Zbl 1174.17021.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75) (도움말)
  8. Polchinski, Joseph (1998). 《String theory. Volume 2: Superstring theory and beyond》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Bibcode:1998stth.book.....P. doi:10.2277/0521633044. ISBN 978-0521633048. Zbl 1006.81522. 
  9. Hori, Kentaro; Katz, Sheldon; Klemm, Albrecht; Pandharipande, Rahul; Thomas, Richard; Vafa, Cumrun; Vakil, Ravi; Zaslow, Eric (2003). 《Mirror Symmetry》 (PDF). Clay Mathematical Monographs 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Clay Mathematical Institute. ISBN 0-8218-2955-6. MR 2003030. Zbl 1044.14018. 
  10. Keller, Christoph A. (2014). 〈Modularity, Calabi–Yau geometry and 2d CFTs〉. Ron Donagi, Michael R. Douglas, Ljudmila Kamenova, Martin Roček. 《String-Math 2013 Conference, June 17–21, 2013, Simons Center for Geometry and Physics, Stony Brook, NY》.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88 (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07–316쪽. arXiv:1312.7313. Bibcode:2013arXiv1312.7313K. ISBN 978-1-4704-1051-3. 
  11. Witten, Edward (1994년 10월 30일). “On the Landau–Ginzburg description of   minimal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Physics A》 (영어) 9 (27): 4783–4800. arXiv:hep-th/9304026. Bibcode:1994IJMPA...9.4783W. doi:10.1142/S0217751X9400193X. Zbl 0985.81718.  |제목=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38) (도움말)
  12. Kawai, Toshiya; Yamada, Yasuhiko; Yang, Sung-Kil (1994). “Elliptic genera and   superconformal field theory”. 《Nuclear Physics B》 (영어) 414: 191-212. arXiv:hep-th/9306096. Bibcode:1994NuPhB.414..191K. doi:10.1016/0550-3213(94)90428-6. Zbl 0980.58500.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1) (도움말)
  13. Green, Michael; Schwarz, John; Witten, Edward (1987). 《Superstring theory. Volume 1: Introduction》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5752-7. 
  14. Cappelli, Andrea; Zuber, Jean-Bernard (2010). “A-D-E classification of conformal field theories”. 《Scholarpedia》 (영어) 5 (4): 10314. arXiv:0911.3242. Bibcode:2009arXiv0911.3242C. doi:10.4249/scholarpedia.10314. ISSN 1941-6016. 
  15. Kazama, Yoichi; Suzuki, Hisao (1989). “New   superconformal field theories and superstring compactification”. 《Nuclear Physics B》 (영어) 321: 232–268. Bibcode:1989NuPhB.321..232K. doi:10.1016/0550-3213(89)90250-2.  |title=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5) (도움말)
  16. Odake, Satoru (1989년 3월 20일). “Extension of N=2 Superconformal Algebra and Calabi-yau Compactification”. 《Modern Physics Letters A》 (영어) 4: 557. doi:10.1142/S021773238900068X. 
  17. Keller, Christoph A.; Ooguri, Hirosi (2013). “Modular Constraints on Calabi-Yau Compactifications”.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324: 107-127. arXiv:1209.4649. 
  18. Ademollo, Marco; Brink, Lars; D’Adda, Alessandro; D’Auria, Riccardo; Napolitano, Ernesto; Sciuto, Stefano; Giudice, Emilio Del; Vecchia, Paolo Di; Ferrara, Sergio; Gliozzi, Ferdinando; Musto, Renato; Pettorino, Roberto (1976년 5월 10일). “Supersymmetric strings and colour confinement”. 《Physics Letters B》 (영어) 62 (1): 105–110. Bibcode:1976PhLB...62..105A. doi:10.1016/0370-2693(76)90061-7. ISSN 0370-2693. 
  19. Kac, V.G. (1977년 10월). “Lie superalgebras”.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26 (1): 8–96. doi:10.1016/0001-8708(77)90017-2. ISSN 0001-8708. Zbl 0366.17012. 
  20. Schwimmer, Adam; Seiberg, Nathan (1987년 1월 29일). “Comments on the   superconformal algebras in two dimensions”. 《Physics Letters B》 (영어) 184 (2–3): 191–196. Bibcode:1987PhLB..184..191S. doi:10.1016/0370-2693(87)90566-1. ISSN 0370-2693.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7)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