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양태과(Hoplichthyidae)는 페르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1] 쏨뱅이목양태아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인도-태평양에서 발견된다. 가시양태, 하스웰가시양태, 외가시양태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가시양태과
Hoplichthys filamentosus
Hoplichthys filamentosu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상목: 극기상목
(미분류): 에우페르카리아류
목: 페르카목
아목: incertae sedis
과: 가시양태과
(Hoplichthyidae)
T. N. Gill, 1889
  • 본문 참조

하위 속

편집
  • 가시양태속 (Hoplichthys) Cuvier, 1829
    • Hoplichthys acanthopleurus Regan, 1908
    • Hoplichthys citrinus Gilbert, 1905
    • Hoplichthys fasciatus Matsubara, 1937
    • Hoplichthys filamentosus Matsubara & Ochiai, 1950
    • 외가시양태 (Hoplichthys gilberti) Jordan & Richardson, 1908
    • 하스웰가시양태 (Hoplichthys haswelli) McCulloch, 1907
    • Hoplichthys imamurai Nagano et al., 2013
    • 가시양태 (Hoplichthys langsdorfii) Cuvier, 1829
    • Hoplichthys mcgroutheri Nagano, Imamura & Yabe, 2014
    • Hoplichthys mimaseanus Nagano et al., 2013
    • Hoplichthys ogilbyi McCulloch, 1914
    • Hoplichthys pectoralis (Fowler, 1943)
    • Hoplichthys platophrys Gilbert, 1905
    • Hoplichthys regani Jordan, 1908
  • Monhoplichthys
    • Monhoplichthys prosemion Fowler, 1938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니어(Nea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3]

페르카목

바리과

참바리과

안티아스과

페르카아목

동미리과

다금바리과

페르카과

Acanthistius

남극암치아목

양태과

불미역치과

잔클로린쿠스과

빨간양태과

꼬리점눈퉁이과

쏨뱅이과

가시양태과

양성대과

둑중개아목

은대구과

쥐노래미과

둑중개하목

큰가시고기하목

등가시치하목


각주

편집
  1. (영어) "Hoplichthyidae". FishBase. Ed. Rainer Froese and Daniel Pauly. 2015년 4월 version. N.p.: FishBase, 2015년.
  2. Thomas J. Near, Alex Dornburg, Kristen L. Kuhn, Joseph T. Eastman, Jillian N. Pennington, Tomaso Patarnello, Lorenzo Zane, Daniel A. Fernández & Christopher D. Jones: Ancient climate change, antifreeze, and the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Antarctic fishes PNAS, February 28, 2012, vol. 109 no. 9, doi:10.1073/pnas.1115169109
  3. Thomas J. Near, Alex Dornburg, Richard C. Harrington, Claudio Oliveira, Theodore W. Pietsch, Christine E. Thacker, Takashi P. Satoh, Eri Katayama, Peter C. Wainwright: Identification of the notothenioid sister lineage illuminates the biogeographic history of an Antarctic adaptive radiation. June 2015, doi:10.1186/s12862-015-03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