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보편교회의 전통을 의미하는 용어
가톨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다. 본래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사도들이 전한 복음을 따르는 교회에 붙이던 용어다. 보편교회의 전통을 의미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본래 천주교회를 일컫는 용어가 아니다.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되기도 한다.[1]
보편교회의 전통편집
보편교회 또는 공교회의 전통을 의미한다. 보편교회 시기인 1세기부터 11세기의 교회의 전통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나, 11세기 교회 대분열 이후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는 서로 초대교회로부터의 유구한 정통성을 강조하는 용어로 사용하며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생각하기에,[2] '가톨릭' 용어를 1세기부터 현재까지 예수 그리스도가 설립한 기독교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즉 '가톨릭'은 자신들의 교회의 정통성을 나타내며[3] 본질을 지칭하는 가장 적절한 표현이라는 실제적 의미로 가톨릭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대한민국의 가톨릭 용어편집
대한민국에서는 보편교회 전통을 의미할 때, 흔히 공교회나 보편교회로 번역하여 사용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가톨릭이라고 쓰면 흔히 천주교회를 지칭하는 단어로 여기나, 이는 잘못된 용례이다. 가톨릭은 기독교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정통 기독교를 통칭하는 명칭이다. 천주교의 다른 공식 명칭은 '로만 가톨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