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중량아

출생 시 체중이 비정상적으로 큰 신생아
(거구증에서 넘어옴)

부당중량아 또는 재태령에 비해 큰 태아(large for gestational age, LGA)는 같은 발생연령의 아기들과 비교했을 때 비정상적으로 높은 체중, 특히 90백분위수 이상의 체중을 가지고 태어난 신생아를 뜻하는 용어이다.[1][2][3] 거구증(macrosomia, 巨軀症) 또는 큰몸증은 과도한 출생 시 체중을 뜻하는 비슷한 뜻의 용어지만, 재태령과 관계없이 절대적인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다.[4] 일반적으로 거구증을 진단하기 위한 출생 시 체중의 기준치는 4,000~4,500g이지만, 그 정의에 대한 국제적인 합의에 이르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다.[4]

부당중량아
재태령에 비해 큰 태아
다른 이름거구증, 큰몸증
LGA: 건강한 5.0kg 신생아. 합병증 없이 질식 분만으로 재태령 41주에 출생. 산모의 임신당뇨병은 없었으며 네 번째 아이였다.
진료과산부인과, 소아과

신생아의 거구증이나 부당중량아에 대한 평가는 산모와 신생아의 분만 이후 합병증, 아기에게 생길 수 있는 장기간의 건강상 합병증, 신생아의 사망 등 출생과 관련된 위험 요소를 확인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5]

각주

편집
  1. Szmyd B, Biedrzycka M, Karuga FF, Strzelecka I, Respondek-Liberska M (2021).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as a Diagnostic Marker of Fetal Macrosomia”.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0 (949): 949. doi:10.3390/jcm10050949. PMC 7957748. PMID 33804406. 
  2. Henriksen T (2008). “The macrosomic fetus: a challenge in current obstetric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87 (2): 134–45. doi:10.1080/00016340801899289. PMID 18231880. S2CID 38118355. 
  3. McGrath RT, Glastras SJ, Hocking SL, Fulcher GR (August 2018). “Large-for-Gestational-Age Neonates in Type 1 Diabetes and Pregnancy: Contribution of Factors Beyond Hyperglycemia”. 《Diabetes Care》 41 (8): 1821–1828. doi:10.2337/dc18-0551. PMID 30030258. S2CID 207369659. 
  4. Barth Jr WH, Jackson R, 외. (Committee on Practice Bulletins—Obstetrics) (January 2020). “Macrosomia: ACOG Practice Bulletin, Number 216”. 《Obstetrics and Gynecology》 135 (1): e18–e35. doi:10.1097/AOG.0000000000003606. PMID 31856124. 
  5. Boulet SL, Alexander GR, Salihu HM, Pass M (May 2003). “Macrosomic births in the united states: determinants, outcomes, and proposed grades of risk”.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88 (5): 1372–8. doi:10.1067/mob.2003.302. PMID 12748514.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