겔 전기 영동법
겔 전기 영동법(gel electrophoresis)은 겔 메트릭스에 전류를 흘려보내 DNA, RNA, 단백질 등을 분리하는 실험 방법이다.[1]
겔 전기 영동장치 사진의 장치에서는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아가로스가 겔 메트릭스로 사용되었다. |
개요편집
왼쪽 그림과 같이 한천으로 된 겔에 시료를 넣고 전류를 흘려보낸다. 수소 이온 농도가 중성일 때 DNA는 인산기 때문에 음전하를 띄므로 DNA는 양극쪽으로 끌려가게 된다. 이 때 DNA가 통과하는 겔은 다공성 물질이기 때문에 일종의 체로써 작용하여 작은 DNA 절편이 더 빨리 끌려가게 된다. 따라서 적당한 시간동안 전류를 흘려보내면 DNA 절편은 크기에 따라 분리된다.[2]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 영동법편집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 영동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변성구배 법편집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 Berg JM, Tymoczko JL Stryer L (2002). Biochemistry (5th ed.). WH Freeman. ISBN 0-7167-4955-6.
- ↑ 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8, 교보문고, ISBN 978-89-7085-798-5, 309-311쪽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