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 (생물학)
계(界 영어: Kingdom)는 생물을 분류하는 가장 큰 단위로 문의 위이다. 동물계, 식물계, 균계, 크로미스타계, 원생동물계, 세균계가 있다. 어떤 생물 분류 체계에서는 계가 역(domain)의 아래인 경우도 있고, 이때 역 대신에 상계(上界, Superregnum/Superkingdom/Empire)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2계 분류편집
고대부터 생물을 동물과 식물로 분류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기원전 322년)는 그의 저작인 《동물지》에서 동물 종을 분류하였으며, 그의 제자 테오프라스토스(기원전 371년경-기원전 287년경)도 식물에 관해 유사한 저술(《식물지(植物誌)에 대하여》)을 남겼다.[1]
칼 폰 린네는 1735년 출판된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에서 생물을 동물계(Regnum Animale)와 식물계(Regnum Vegetabile)로 분류했으며, 무생물인 광물 역시 하나의 계로 보고, 광물계(Regnum Lapideum)로 분류했다.
| ||||||||||
3계 분류편집
1674년, "현미경의 아버지"로 불리는 안톤 판 레이우엔훅은 단세포 미생물에 대한 그의 첫 관찰 결과를 런던의 왕립 학회에 보냈다. 그때까지 미생물의 존재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 |||||||||||||
4계 분류편집
| ||||||||||||||||
| ||||||||||||||||||||||||||||
3역 6계 분류편집
린네 (1735년) 2계 분류 |
헤켈 (1866년) 3계 분류 |
채튼 (1937년) 2계 분류 |
코플랜드 (1956년) 4계 분류 |
휘태커 (1969년) 5계 분류 |
워즈 (1977년) 6계 분류 |
워즈 (1990년) 3역 분류 |
캐빌리어 스미스 (2004년) 6계 분류 |
---|---|---|---|---|---|---|---|
(다루지 않음) | 원생생물 (Protista) |
원핵생물 (Prokaryota) |
모네라 (Monera) |
모네라 (Monera) |
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진정세균 (Eubacteri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고세균 (Archaea) | ||||||
진핵생물 (Eukaryo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진핵생물 (Eukarya) |
원생동물 (Protozoa) | ||
크로미스타 (Chromista) | |||||||
식물 (Vegetabilia) |
식물 (Plantae)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