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화(高義和: 1049년[1]~1119년 3월 4일(음력 1월 21일)[2])는 고려무신으로, 본관은 고산(高山: 오늘날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산면)이다.[3]

고의화
高義和
고려병부상서
국왕 고려 예종

신상정보
출생일 1049년
출생지 고려 전주 고산현
사망일 1119년
사망지 미상
국적 고려
성별 남성
상훈 위사공신

약력 편집

  • 1049년(문종 3): 태어남.
  • 무예에 뛰어나 군인 선발에 응시해 군인으로 선발되고 이어 대정(隊正)으로 임명받음.[3]
  • 1095년(헌종 원): 이자의가 난[4]을 일키자 장사(壯士)로서 이를 진압해 계림공이 왕위에 오르는데 공을 세워 산원(散員: 정8품)에 오름.[3][5]
  • 1105년(예종 즉위): 용호군상장군형부상서(龍虎軍上將軍刑部尙書)에 임명받음.[6]
  • 1108년(예종 3): 병부상서(兵部尙書)로 임명받음.[7]
  • 1114년(예종 9): 우복야응양군상장군(右僕射 鷹楊軍上將軍)로 임명받음.[8]
  • 1117년(예종 12): 나이로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려고 하자 임금이 위사공신(衛社功臣)의 칭호를 내림.[3]
  • 1119년(예종 14): 사망. 향년 일흔한 살.[3][1]

전기 자료 편집

  • 《고려사》 권95, 〈열전〉8, 소태보 부 고의화

각주 편집

  1. 《고려사》 권95, 〈열전〉8, 소태보 부 고의화 중 ‘十二年, 上書言, “臣年六十九, 戶籍誤减一年. 且臣病不能從事, 請致仕.” (중략) 十四年卒.’
  2. 《고려사》 권14, 〈세가〉14, 예종 14년(1119년) 1월 21일(무진)
  3. 《고려사》 권95, 〈열전〉8, 소태보 부 고의화
  4. 여러 연구에서 밝혔다시피 이 '난'은 숙종 측이 즉위의 명분을 세우려고 꾸민 것이다. 남인국, 〈고려 숙종의 즉위 과정과 왕권 강화〉, 《역사교육논집》 5,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1983년; 임영희, 〈고려 숙종의 즉위에 대한 재검토〉, 《한국중세사연구》 56, 한국중세사학회, 2019년.
  5. 《고려사절요》 권6, 헌종 원년(1095년) 7월
  6. 《고려사》 권12, 〈세가〉12, 예종 즉위년(1105년) 11월 5일(기해)
  7. 《고려사》 권12, 〈세가〉12, 예종 3년(1108년) 7월 20일(무진)
  8. 《고려사》 권13, 〈세가〉13, 예종 9년(1114년) 1월 28일(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