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곡성(槐谷城)은 신라가 158년 죽령(竹嶺)을 개척하고 한강유역을 진출하기 위하여 전초기지를 구축한 관방유적이다.

괴곡성의 위치 편집

괴곡성은 충북 제천시 수산면 괴곡리, 원대리, 계란리, 다불리 등지의 접경인 두무산(杜舞山), 옥순봉(玉筍峰), 청풍호반(淸風湖畔)의 주능선에 소재하며, 좌표는 N36 56.394 E128 12.218이다.

괴곡성의 전적사료 편집

  • 괴곡성(槐谷城)[1] 은 삼국의 이름이 있으나 미상으로 분류되어 지리적인 위치의 학설은 이곳이 신라시대괴양군(槐壤郡)이었다고 한다.[2] 때문에 괴곡괴양을 같은 지명으로 보아 괴곡을 지금의 충북 괴산군 괴산읍 일대로 비정하기도 하는데[3], 확실하지는 않다.[4]라고 하였다.
  • 괴양군(槐壤郡)은 본래 고구려 잉근내군(仍斤內郡)인데, 경덕왕(景德王)이 개명했다. 지금은 괴주(槐州)이다.[5]라는 사료에서 신라경덕왕(景德王)은 재위기간이 742~765년간으로 괴곡성과 무관하다.
  • 606년(진평왕 28) 신라의 장수 찬덕(讚德)이 가잠성(椵岑城)을 지키고 있을 때, 백제의 대군이 침입하여 1백여 일을 포위, 공격하였으나 끝내 항복하지 아니하고 큰 느티나무에 머리를 받아 자결하였다. 뒤에 이 소문을 듣고 태종 무열왕은 찬덕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하여 이곳을 괴산으로 부르게 하였다고 전한다.[6]라는 자료에서 괴곡성은 지금의 괴산과 관련이 없다.
  • 신라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 17년(278)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와서 괴곡성(槐谷城)을 포위하니 파진찬 정원(正源)에게 명령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7]라는 사료에서 신라죽령(竹嶺)을 개척[8] 하여 한강유역을 진출하기 위하여 괴곡성을 축성하였다.
  • 신라 미추니사금 22년(283) 겨울 10월에, 백제가 괴곡성(槐谷城)을 포위하자 일길찬 양질(良質)이 막았다.[9]

괴곡성의 고증 편집

괴곡성의 자연환경 편집

괴곡성의 관련유물 편집

괴곡성의 현황 편집

괴곡성의 관련인물 편집

각주 편집

  1. 三國史記  卷第三十七 雜志》三國有名未詳地分 槐谷城
  2. 신증동국여지승람 권14》괴산군 건치연혁
  3. 정구복 외《역주 삼국사기》3 주석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9쪽
  4.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三國史記  卷第三十五 雜志 第四槐壤郡 本 髙句麗 仍斤内郡 景徳 王改名今 槐州》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괴산군(1996)
  7.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冬十月百濟兵來圍 槐谷城 命 波珍湌 正源 領兵拒之
  8.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阿達羅 尼師今 五年 春三月開 竹嶺》
  9.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味鄒尼師今 冬十月圍 槐谷城 命一吉湌 良質 領兵禦之
  10. 제천군지》(1969)
  11. 여지조서》청풍부 방리
  12. 대동여지도》현재 옥순대교로 향하는 신작로에 내동(內洞)에 2그루의 느티나무를 제천시에서 2003년 5월 9일 보호수로 지정한 수령은 300년에 높이는 17m, 둘레는 5.6m의 거목이 수호하여 옛 수몰지 조상거리에 천년 이상의 신목으로 삼았던 느티나무를 전승하고 있다.
  13. 충북지방 성곽의 보존 및 활용방안》(2013)
  14. 三國史記 卷第二 新羅本紀 第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