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맥

심낭삼출로 인해 QRS파 진폭이 교대로 달라지는 현상

교대맥(交代脈, electrical alternans) 또는 교호맥(交互脈)은 심전도상에서 규칙적인 맥박이 있을 때, QRS파의 강도가 강해졌다가 약해졌다가를 교대로 반복하는 상태이다. 심장눌림증(심장압전)이나 중증 심낭삼출이 있을 때 볼 수 있으며, 이는 삼출액이 차 있는 심낭 안에서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앞뒤로 흔들리기를 반복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1] 심초음파로 심장을 관찰해 보면 심전도에서 QRS파 전압이 변할 때마다 심장의 특징적인 흔들림을 볼 수 있다.[2] 어떤 유도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모든 유도에서 동시에 교대맥이 발생하기도 한다.[3]

교대맥
대량의 심낭삼출이 있는 환자에서 보이는 교대맥 소견. 그 외에도 QRS파가 작고 빈맥이 있다.
진료과심장학

교대맥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두 가지 원인이 상술한 심장눌림증과 심낭삼출이긴 하지만, 다른 여러 가지 심장 맥박 문제가 QRS파 진폭을 변화시켜 교대맥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가령 다발갈래차단(BBB), 울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WPW), 방실결절 재진입 빈맥(AVNRT) 등 심장 전기 전도계에 문제가 있어 QRS파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심실빈맥에서는 심실 주변 칼륨 이온 농도가 국소적으로 변하면서 활동전위 불안정성이 생겨, 심장의 재분극 타이밍에 차이가 벌어지면서 교대맥 패턴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3]

심전도에서 교대맥을 발견하면 환자가 호소하는 다른 증상과 신체검사 소견 등을 고려하고, 심초음파 등 다른 검사를 추가로 시행해 기저 원인이 무엇인지 판명하도록 한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ntonio Bayés de Luna (2011). 《Clinical Arrhythmology》. John Wiley and Sons. 351쪽. ISBN 9781444391732. 
  2. Jehangir, Waqas; Osman, Mohamed (2015년 8월 20일). “Electrical Alternans with Pericardial Tamponad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3 (8): e10. doi:10.1056/NEJMicm1408805. ISSN 0028-4793. PMID 26287870. 
  3. Ingram, David; Strecker-McGraw, Margaret K. (2023년 4월 7일). “Electrical Alternans”. StatPearls Publishing. PMID 30480962. 2023년 12월 29일에 확인함. 

추가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