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자상(交子床)은 의례의 상차림은 아니지만, 의례의 모임이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여럿이 식사를 하기 위한 상이다.

교자상
기본 정보
이름교자상
역사

식단의 구성은 7첩 반상 정도로 하며 전골이나 신선로를 곁들이고, 생채로는 겨자채, 숙채로는 잡채, 김치로는 나박김치나 장김치를 더한다. 식품은 계절에 맞게 선택하며 음료나 과정류·떡류·과일 등도 준비한다. 을 곁들일 때에는 술 대접이 끝난 후 국수만두, 떡국 중 한 가지를 대접하며, 음료나 과일은 식사가 끝난 후에 대접한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