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민주당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
(기독교민주당 아펠에서 넘어옴)
기독민주당(네덜란드어: Christen-Democratisch Appèl, CDA)은 1973년에 설립된 네덜란드의 기독교 민주당이다.
기독민주당
Christen-Democratisch Appèl | |||
| |||
약칭 | CDA | ||
---|---|---|---|
상징색 | 녹색 | ||
이념 | 기독교 민주주의[1] 사회보수주의[2][3] 경제적 자유주의 | ||
스펙트럼 | 중도[4][5][6] ~ 중도우파[7][8][9][10] | ||
당직자
| |||
당수 | Hugo de Jonge | ||
회장 | 러거 플룸 | ||
역사
| |||
창당 | 1973년 6월 23일 | ||
외부 조직
| |||
유럽의회 교섭단체 | 유럽 국민당 | ||
국제조직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
의석
| |||
유럽의회 | 4 / 29
| ||
상원 | 9 / 75
| ||
하원 | 19 / 150
| ||
지방 의회 | 73 / 570
| ||
왕의원 | 5 / 12
| ||
| |||
각주
편집- ↑ Nordsieck, Wolfram (2021). “Netherlands”.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2021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Paul Lucardie; Hans-Martien Tennapel (1996). 〈Between Confessionalism and Liberal-Conservatism: the Christian Democratic Parties of Belgium and the Netherlands〉. David Hanley. 《Christian Democracy in Europe》. A&C Black. 64쪽. ISBN 978-1-85567-382-3.
- ↑ Paul Lucardie (2004). 〈Paradise Lost, Paradise Regained? Christian Democracy in the Netherlands〉. Steven Van Hecke; Emmanuel Gerard. 《Christian Democratic Parties in Europ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Leuven University Press. 169–170쪽. ISBN 978-90-5867-377-0.
- ↑ “Kieskompas”. 《Kieskompas》. Kieskompas. 2021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일에 확인함.“Netherlands”. 《Freedom in the World 2003》. Freedom House. 2019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Bremmer, Ian (2012년 9월 13일). “Going Dutch: The Netherlands' election results roll in”. 《Foreign Policy》. 2019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Delcker, Janosch (2018년 2월 18일). “Risk of bioweapon attack growing, Dutch defense minister says”. 《POLITICO》 (Munich). 2020년 5월 5일에 확인함.
Bijlevel, a member of the centrist Christian Democratic Appeal party, said that the technology for creating biological weapons had advanc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while at the same tim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tinues to underestimate this risk".
- ↑ Weaver, Matthew (2017년 3월 16일). “Dutch elections: Rutte starts coalition talks after beating Wilders into second – as it happened”. 《The Guardian》. 2019년 3월 30일에 확인함.
- ↑ Syuzanna Vasilyan (2009). 〈The integration crisis in the Netherlands: the causes and the new policy measures〉. Ditta Dolejšiová; Miguel Angel García López. 《European Citizenship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Challenges for Citizenship, Citizenship Education and Democratic Practice in Europe》. Council of Europe. 73쪽. ISBN 978-92-871-6478-0.
- ↑ Hans Vollaard; Gerrit Voerman; Nelleke van de Walle (2015). 〈The Netherlands〉. Donatella M. Viola. 《Routledge Handbook of European Elections》. Routledge. 171쪽. ISBN 978-1-317-50363-7.
- ↑ Kees Van Kerbergen; André Krouwel (2013). 〈A double-edged sword! The Dutch centre-right and the 'foreigners issue'〉. Tim Bale.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olicy in Europe: Why Politics – and the Centre-Right – Matter》. Routledge. 91–92쪽. ISBN 978-1-317-96827-6.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네덜란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