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40세기
세기
기원전 40세기는 기원전 4000년부터 기원전 3001년까지의 기간이다. 기원전 40세기 동안에는 량주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등 많은 문화들이 발생했으며 말의 가축화와 쟁기의 사용 등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이 시기 대한민국은 신석기 시대가 한창이었다.
기원전 | ||||||||||||
---|---|---|---|---|---|---|---|---|---|---|---|---|
40 | 39 | 38 | 37 | 36 | 35 | 34 | 33 | 32 | 31 |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
20 | 19 | 18 | 17 | 16 | 15 | 14 | 13 | 12 | 11 |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
기원후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사건
편집근동
편집- 메소포타미아
- 기원전 4100년~3100년 경: 우루크 시대가 시작되었다. 우루크의 영토 확장과 원시 쐐기 문자의 발명으로 수메르의 새로운 패권국으로 등극하였다.[1]
- 기원전 4100년~3100년 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육십진법, 천문학과 점성술, 민법, 발달된 수문학, 범선, 돌림판과 바퀴가 발명되었다.[1]
- 기원전 3500년~2340년 경: 수메르에서 수레와 청동기가 발명되었으며, 지구라트가 건설되었다.[2]
- 기원전 3000년 경: 주석이 사용되었다.
- 키시 1~4 왕조 시대가 진행되었다.
- 에리두에 잔나 사원이 건설되었다.
- 칼데아 우르 근처의 알우바이디에 사원과 메스칼람두그의 무덤이 건설되었다.
-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던 부족들과 교류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 우르케시가 후르리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 안마당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건축물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 쿠라-아락세스 문화의 세력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남하했다.
- 페르시아
- 아나톨리아 반도와 캅카스
- 기원전 3700년~3000년 경: 마이코프 문화가 발생했다.
- 기원전 3400년 경: 쿠라-아락세스 문화가 발생했다.
- 이집트
- 기원전 4000년경: 엘 오마리 문화 발생.
- 기원전 4000년경: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발생.
- 기원전 4000년경: 빗살무늬토기 문화 발생.
- 기원전 4000년경: 누두형 비커 문화 발생.
- 기원전 4000년경: 쿠르간 가설에 따른 드네프르-도네츠크 문화의 번성.
- 기원전 3300년경: 량주 문화 발생.
발명과 발견, 과학사
편집- 기원전 4000년경: 유럽에서 야금술이 발달하기 시작함.
- 기원전 4000년경: 수사의 도예 중심지화.
- 기원전 4000년경: 메르헬레바 능선의 건설.
- 기원전 4000년경: 카르나크 열석, 알멘드레스 환상열석의 건설.
- 기원전 3900경: 5.9천년 사건: 홀로세 최악의 사막화 현상. 이로써 녹색 사하라의 신석기 시대가 끝나고 사하라 사막의 건조화가 시작됨. 북아프리카 중앙 지역에서 나일강 유역으로의 인구 이동 가속화.
- 기원전 3800년경: 쟁기의 사용
- 기원전 3500년경: 말의 가축화.
- 이란과 아르메니아 등지에서 포도주를 만들기 위한 시도가 지속됨.[4]
환경
편집달력
편집년대와 년도
편집기원전 4000년대 | 전4009 | 전4008 | 전4007 | 전4006 | 전4005 | 전4004 | 전4003 | 전4002 | 전4001 | 전4000 |
기원전 3990년대 | 전3999 | 전3998 | 전3997 | 전3996 | 전3995 | 전3994 | 전3993 | 전3992 | 전3991 | 전3990 |
기원전 3980년대 | 전3989 | 전3988 | 전3987 | 전3986 | 전3985 | 전3984 | 전3983 | 전3982 | 전3981 | 전3980 |
기원전 3970년대 | 전3979 | 전3978 | 전3977 | 전3976 | 전3975 | 전3974 | 전3973 | 전3972 | 전3971 | 전3970 |
기원전 3960년대 | 전3969 | 전3968 | 전3967 | 전3966 | 전3965 | 전3964 | 전3963 | 전3962 | 전3961 | 전3960 |
기원전 3950년대 | 전3959 | 전3958 | 전3957 | 전3956 | 전3955 | 전3954 | 전3953 | 전3952 | 전3951 | 전3950 |
기원전 3940년대 | 전3949 | 전3948 | 전3947 | 전3946 | 전3945 | 전3944 | 전3943 | 전3942 | 전3941 | 전3940 |
기원전 3930년대 | 전3939 | 전3938 | 전3937 | 전3936 | 전3935 | 전3934 | 전3933 | 전3932 | 전3931 | 전3930 |
기원전 3920년대 | 전3929 | 전3928 | 전3927 | 전3926 | 전3925 | 전3924 | 전3923 | 전3922 | 전3921 | 전3920 |
기원전 3910년대 | 전3919 | 전3918 | 전3917 | 전3916 | 전3915 | 전3914 | 전3913 | 전3912 | 전3911 | 전3910 |
기원전 3900년대 | 전3909 | 전3908 | 전3907 | 전3906 | 전3905 | 전3904 | 전3903 | 전3902 | 전3901 | 전3900 |
기원전 3890년대 | 전3899 | 전3898 | 전3897 | 전3896 | 전3895 | 전3894 | 전3893 | 전3892 | 전3891 | 전3890 |
각주
편집- ↑ 가 나 Mark, Joshua J. “Uruk” (영어). 2023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Federico Lara Peinado,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1999). 《La Civilización Sumeria》. 16쪽.
- ↑ “Naqada Culture | Ancient Egypt Online”.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Scientists discover 'oldest' winery in Armenian cave” (영어). 2023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Major Climate Change Occurred 5,200 Years Ago: Evidence Suggests That History Could Repeat Itself” (영어).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 ↑ Kristan-Tollmann, Edith; Tollmann, Alexander (1994). “The youngest big impact on Earth deduced from ge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Terra Nova》 (영어) 6 (2): 209–217. doi:10.1111/j.1365-3121.1994.tb00656.x. ISSN 1365-3121.
이 글은 시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