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21세기(21世紀, 영어: 21st century)는 2001년 1월 1일부터 2100년 12월 31일까지를 말하고, 제3천년기의 첫 번째 세기이기도 하다.
기원전 | ||||||||||||
---|---|---|---|---|---|---|---|---|---|---|---|---|
40 | 39 | 38 | 37 | 36 | 35 | 34 | 33 | 32 | 31 |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
20 | 19 | 18 | 17 | 16 | 15 | 14 | 13 | 12 | 11 |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
기원후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개요편집
21세기 초에는 세계경제와 제3세계 소비주의, 정부에 대한 불신, 테러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 등이 부상하는 시기로 대표된다.[1][2][3] 2010년대 초 아랍의 봄으로 대표되는 민주화 운동의 물결로 아랍 세계에는 희비가 엇갈리는 결과를 빚었기도 하였다.[4] 또한 지난 세기말에 비롯된 '디지털 혁명'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5] 이 시기 언저리에 태어난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자라면서 세기초의 주역으로 거듭나고 있다.[6] 반면 종교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무종교 인구가 11억 명에 도달하면서 쇠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7][8]
현대사적인 관점에서 21세기의 근본적인 시작점을 1991년으로 보기도 한다. 이 해는 단기 20세기의 끝으로, 소련이 붕괴하고 미국이 초강대국에 등극하는 한편, 중국이 성장기에 돌입하고, 브릭스 국가들이 국제정치와 경제스펙트럼에서 균형 확대를 목표로 하던 해였다.[9][10]
디지털 통신기술이 전세계로 확대되면서 휴대전화와 인터넷의 과다사용을 비롯한 우려도 확산되었다.[11] 2013년 기준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구 비중은 전세계 인구의 80%에 달하며,[12] 2010년에는 개인용 컴퓨터를 소지한 사람이 33%,[13] 2016년에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46%로 추산됐다.[14]
주요 사건편집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개최
- 2006년
- 2007년
- 10월 4일 - 2007년 10.4 남북정상선언
- 12월 7일 - 태안 기름 유출 사고 발생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월 11일 -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28일을 기해 사임한다고 발표했다.
- 3월 19일 - 아르헨티나 출신의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이 후임 교황으로 선출되어 프란치스코로 명명하였다.
- 12월 5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 타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6년 리우 올림픽 개최
- 2017년
- 2018년
- 2019년
- 4월 30일 - 일본 천황 아키히토(明仁)의 생전 퇴위
- 12월 1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국 발생
- 2020년
- 3월 11일 WHO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유행 발표
- 11월 2일 화이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만듦
- 11월 조 바이든이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됨
- 2021년
- 1월 6일 미국 의회 점거 사건이 발생했다.
주요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예정편집
년대와 년도편집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Majority of Americans distrust the government”. 《Reuters》. 2010년 4월 19일.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David A. Lake. “Rational Extremism: Understanding Terror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PDF). 《quote.ucsd.edu》.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Working with Private Industry | Research Pages | The Stimson Center | Pragmatic Steps for Global Security”. 《www.stimson.org》. 2016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Fisher, Marc (2011년 12월 15일). “Arab Spring yields different outcomes in Bahrain, Egypt and Libya”. 《The Washington Post》. ISSN 0190-8286.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Satell, Greg. “Why The Digital Revolution Is Really Just Getting Started”.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Contrasting Generation Y and Z”. 《The Huffington Post》.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The World's Newest Major Religion: No Religion”. 2016년 4월 22일. 2018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2012년 12월 18일. 2018년 3월 21일에 확인함.
- ↑ Flows, Capital. “Why The U.S. Remains The World's Unchallenged Superpower”.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Bric tries to shift power balance”. 《BBC》. 2010년 4월 15일. 2015년 6월 1일에 확인함.
- ↑ “Workplace trends: Technology increases workplace stress”. 《Office World News》. 1999. 2009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he growth of mobile”. 《Techi.com》. 2016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It's a PC world: Global computer ownership will continue to rise in 2010”. The Economist. 2009년 12월 29일. 2015년 1월 6일에 확인함.
- ↑ “Internet Users”. InternetLiveStats.com. March 2016. 2016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