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악(1928년 6월 ~ 2010년 1월)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이다.

김순악
출생1928년 6월
경상북도 경산시
사망2010년 1월
경상북도 경산시
성별여성
경력위안부역사관 희움 건립
직업인권운동가

생애

편집

1928년 경북 경산에서 마을에서 가장 가난한 소작농의 딸로 출생하였다. 삼남매의 첫째로 외딸이었다. 실공장에 취직시켜준다는 말에 속아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다. 중국 지자루(치치하루)에 위치한 위안소에서 하루에 많게는 30~40명의 일본 군인과 성관계를 해야하는 생활이 이어졌다. 일본 패망 후 열여덟의 나이로 고향에 돌아와 술장사, 밥장사, 식모를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2000년 1월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지정되었으며 이 때부터 이용수 등과 수요집회에 참여하며 일본 정부에게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활동을 했다. 2010년 1월 "내가 죽어도 내게 일어났던 일은 잊지 말아 달라"고 유언하며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위해 5천400여만원을 남겼다.[1][2][3]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