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억추

조선 중기의 무신

김억추(金億秋, 1548년 ~ 161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청주, 자는 방로(邦老), 시호는 현무(顯武)이다.

생애

편집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박산마을에서 병조판서 김충정(金忠貞)의 아들로 태어났다. 1577년 알성무과에 급제하였다. 무이만호가 되어 북변에서 전공을 세웠고 순창 군수로 재임하던 중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방어사로 임명되어 평안도에 도착해 대동강을 지켰다. 그러나 제1차 평양 전투에서 패배해 그 책임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594년 만포진첨절제사가 되고 진주목사와 고령진첨절제사를 지냈다. 1597년 전라우수사로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을 따라 어란포 해전명량 해전에서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이후 밀양 부사를 거쳐 1608년 종2품에 올라 경상좌병사 및 제주목사가 되었다.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 강진군 박산마을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내다가 71세에 사망하였다.

평가

편집

이순신은 자신의 일기에서 김억추를 "만호나 하면 딱 맞을까, 대장감은 못 되는 인물인데 좌의정 김응남의 천거로 억지로 임명된 자다"[1]라고 기록하며, 울돌목 싸움에서도 통제사 이순신의 대장선이 선두에서 싸우는 동안 다른 전선과 함께 뒤로 물러나 싸울 엄두도 내지 못했고, 김억추가 탄 배는 두 마장(馬場) 거리로 멀리 도망쳐 가물가물거리고 있었다고[2] 비난하고 있다. 이는 훗날 제주목사로 파견되어 있던 광해군 4년(1612년)에도 사간원(司諫院)에서 "사람됨이 노둔하여 본디 명망이 없으니 중진(重鎭)을 단독으로 제재한다는 것은 결코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평가와도 비슷하다.

관련 작품

편집
드라마
영화

각주

편집
  1. 《정유일기》 정유년(1597년) 9월 8일
  2. 《정유일기》 정유년(1597년) 9월 16일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