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재료 또는 나노물질(nanomaterials)은 원칙적으로 단일 단위의 크기가 1~100nm(나노스케일의 일반적인 정의[1]) 사이인 물질을 말한다.

나노재료 연구는 미세 가공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재료 계측 및 합성의 발전을 활용하여 나노기술에 대한 재료과학 기반 접근 방식을 취한다. 나노 규모의 구조를 지닌 재료는 종종 독특한 광학적, 전자적, 열물리적 또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2][3][4]

나노물질은 서서히 상용화[5]되어 상품으로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다.[6]

정의

편집

ISO/TS 80004에서 나노물질은 "나노 규모의 외부 치수를 갖거나 나노 규모의 내부 구조 또는 표면 구조를 갖는 물질"로 정의되며, 나노 규모는 "대략 1 nm에서 100 nm까지의 길이 범위"로 정의된다. 여기에는 개별 물질 조각인 나노 물체와 나노 규모의 내부 또는 표면 구조를 갖는 나노구조 물질이 모두 포함된다. 나노물질은 이 두 범주 모두에 속할 수 있다.[7]

2011년 10월 18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나노물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채택했다.[8]

결합되지 않은 상태, 응집체 또는 응집체의 입자를 함유하고 수 크기 분포에서 입자의 50% 이상이 하나 이상의 외부 치수가 1nm - 100nm 크기 범위에 있는 천연, 부수적 또는 제조된 물질이다. 특정한 경우와 환경, 건강, 안전 또는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경우 50%의 수 규모 분포 임계값은 1%에서 50% 사이의 임계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uzea, Cristina; Pacheco, Ivan; Robbie, Kevin (2007). “Nanomaterials and Nanoparticles: Sources and Toxicity”. 《Biointerphases》 2 (4): MR17–MR71. arXiv:0801.3280. doi:10.1116/1.2815690. PMID 20419892. S2CID 35457219. 
  2. Sadri, Rad (2018년 1월 1일). “A facile, bio-based, novel approach for synthesis of covalently functionalized graphene nanoplatelet nano-coolants toward improved thermo-physical and heat transfer propertie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509: 140–152. Bibcode:2018JCIS..509..140S. doi:10.1016/j.jcis.2017.07.052. PMID 28898734. 
  3. Hubler, A.; Osuagwu, O. (2010). “Digital quantum batteries: Energy and information storage in nanovacuum tube arrays”. 《Complexity》 15 (5): 48–55. doi:10.1002/cplx.20306. 
  4. Portela, Carlos M.; Vidyasagar, A.; Krödel, Sebastian; Weissenbach, Tamara; Yee, Daryl W.; Greer, Julia R.; Kochmann, Dennis M. (2020). “Extreme mechanical resilience of self-assembled nanolabyrinthine materi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7 (11): 5686–5693. Bibcode:2020PNAS..117.5686P. doi:10.1073/pnas.1916817117. ISSN 0027-8424. PMC 7084143. PMID 32132212. 
  5. Eldridge, T. (2014년 1월 8일). “Achieving industry integration with nanomaterials through financial markets”. Nanotechnology_Now. 
  6. McGovern, C. (2010). “Commoditization of nanomaterials”. 《Nanotechnol. Perceptions》 6 (3): 155–178. doi:10.4024/N15GO10A.ntp.06.03. 
  7. “ISO/TS 80004-1:2015 - Nanotechnologies – Vocabulary – Part 1: Core term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5. 2018년 1월 8일에 확인함. 
  8. Nanomaterials. European Commission. Last updated 18 October 201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