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운흥사 석장승

나주 운흥사 석장승(羅州 雲興寺 石長栍)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나주 운흥사 입구에 세워진 남녀 한 쌍의 돌장승이다. 1968년 12월 12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나주 운흥사 석장승
(羅州 雲興寺 石長栍)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가민속문화재
종목국가민속문화재 제12호
(1968년 12월 12일 지정)
수량2기
시대조선시대
소유운흥사
위치
나주 운흥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나주 운흥사
나주 운흥사
나주 운흥사(대한민국)
주소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암정리 949번지
좌표북위 34° 54′ 44.8″ 동경 126° 48′ 8.8″ / 북위 34.912444° 동경 126.802444°  / 34.912444; 126.802444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나주 운흥사 입구에 세워진 남녀 한 쌍의 돌장승이다.

사찰 앞에 세워지는 사찰장승은 경내의 부정을 금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기능을 지닌다. 대개 무서운 듯하면서도 인자함을 지닌 모습으로 표현되며 절의 경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운흥사 석장승은 사찰에서 500m쯤 떨어진 밭 가운데 마주보고 서 있는데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의 모습이다. 남장승은 높이 270cm, 둘레가 192cm에 달하는 거대한 체구로 크고 둥근 눈에 뭉툭한 코, 송곳니가 삐져나와 있지만 인자한 할아버지의 얼굴이다. 머리에는 관을 쓰고 턱 밑에는 八자형 수염이 표시되었으며 몸체에는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이란 이름이 새겨있다. 여장승은 웃는 표정으로 소박한 모습이다. 깊은 선으로 둥근 눈이 표시되었고 입 언저리의 잔 수염과 주걱턱 표현이 인상적이다. 몸체에는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란 이름이 새겨있다.

사찰 수호의 기능을 지닌 이 장승은 여장승 뒷면의 조선 숙종 45년(1719)이라는 기록으로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민속문화재이다.

현지 안내문

편집

장승은 마을수호신이나 이정표(거리표시), 또는 사찰의 입구에 세워져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오른쪽이 여장승, 왼쪽이 남장승이다. 여장승은 하원당장군이라 음각된 얇고 넓은 돌장승인데 불회사의 여장승처럼 온화한 맛이 없고, 원시예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강한 인상을 하고 있다. 남장승은 거대해서 위엄이 있으며 온화하고 인자한 노인 특유의 인상을 지니고 있다. 또 큰 치아 두 개가 입의 좌우에 노출되어 있고 수염이 턱밑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불회사 석장승과 견주어 보면 조각법과 원형의 눈동자 등 형태가 거의 비슷하다.

여장승인 하원당장군의 뒷면에 강희 58년(1719)이라는 명문이 있어 만들어진 해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민속자료이다.[1]

각주

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