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 독일의 종교

나치 독일 시대 당시 종교

나치 독일 시대 당시 독일 기독교는 크게 찬성파와 반대파로 나뉘었다.

나치 찬성파 교회

편집

나치 독일 당시 대다수의 교회들은 교파를 떠나, 나치에 대해 지지하거나 침묵을 지키는 과오를 범하였다. 이 때문에, 가톨릭 교회의 경우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칼 라너 등의 일부 신학자들이 과거사 반성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개신교에서도 "하나님이 영적인 구원을 위해서 예수를 보내셨듯이, 독일을 구원하기 위해서 히틀러를 보내셨다"라고 주장할 정도로 나치에 대해서도 우호적이었다.[1]

나치 반대파

편집

개신교 나치 반대파들은 고백교회를 통해 나치에 저항하였다. 하지만 고백교회는 내부적으로 완전히 일치된 반나치 저항운동은 아니었다. 이들은 성육신한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어느 누구에게도 굴복할 수 없다는 바르멘 선언을 하였으며, 독일 개신교를 통합하려는 히틀러의 종교정책에 반기를 들었다. 하지만 나치에 반대한 성직자들은 죽거나 투옥되고 자격을 상실당했다. 고백교회의 두 번째 예비운영부(preliminary church executive)의 사무장이자 법률 고문이었던 프리드리히 바이슬러 박사는 작센하우젠 수용소에서 처형 당했으며, 로마 가톨릭 주교고문으로 장애인이 되고, 개신교 신학자들은 신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게 되어, 미국으로 망명할 정도로 혹독한 탄압을 당했다. 루터교회 신학자 폴 틸리히의 경우 신학자로서의 자격을 박탈당하자 미국으로 망명해야 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현대신학이야기》/박만 지음/살림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