넙다리정맥

넓적다리의 큰 정맥

인체넙다리정맥(femoral vein) 또는 대퇴정맥(大腿靜脈)은 넙다리혈관집 안에서 넙다리동맥과 함께 주행하는 정맥이다. 큰모음근에 뚫려 있는 구멍인 모음근구멍에서 시작하며, 오금정맥이 연속된 정맥이다. 그 후 고샅인대 아래쪽 경계에서 바깥엉덩정맥이 되며 끝난다. 넙다리정맥의 판막은 보통 첨판이 두 개이며 판막의 수는 사람들 간에, 또는 종종 오른다리와 왼다리 간에도 변이가 있다.[1]

넙다리정맥
다리의 정맥
넙다리빗근을 제거하기 전(왼쪽)과 후(오른쪽). 아래쪽의 넙다리정맥과 동맥을 보여준다.
정보
기원오금정맥, 깊은넙다리정맥, 큰두렁정맥
도착 구조바깥엉덩정맥
동맥넙다리동맥
식별자
라틴어vena femoralis
영어femoral vein
MeSHD005268
TA98A12.3.11.023
TA25055
FMA21185

구조

편집
 
넙다리정맥의 구분
  • 온넙다리정맥(총대퇴정맥, common femoral vein)은 깊은넙다리정맥이 합류하는 지점과 고샅인대 아래쪽 경계 사이의 넙다리정맥을 말한다.[2]
  • 넙다리빗근밑정맥(봉공근하정맥, subsartorial vein[3][4]) 또는 얕은넙다리정맥(천대퇴정맥, superficial femoral vein[3])은 모음근구멍과 깊은넙다리정맥이 들어오는 지점 사이의 넙다리정맥을 가리키며, 이 부분에서 넙다리정맥은 모음근굴 안을 주행한다. 그러나 'superficial femoral vein'이라는 용어는 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많은 의사들 사이에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5] 특히 넙다리정맥은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인해 항응고제혈전용해술을 시행하기도 하는 깊은정맥이다. 그런데 'superficial'이라는 단어는 의사들이 넙다리정맥을 얕은정맥으로 착각할 수 있게 만들어 혈전증 환자에게 잘못된 치료를 하게 만들 수 있다.[6][7][8] 따라서 깊은넙다리정맥이 들어오는 지점보다 먼쪽의 넙다리정맥은 'subsartorial vein'이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한편 여러 큰 정맥들이 넙다리정맥으로 합류한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

넙다리정맥은 큰 정맥이기 때문에 폐쇄될 경우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5] 가령 넙다리정맥에 발생한 심부정맥혈전증폐색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위험성은 온넙다리정맥에 혈전이 위치할 경우 넙다리빗근밑정맥일 때보다 더 크다.[4]

중심정맥관 삽입 시 넙다리정맥을 종종 이용한다.[9][10] 이때 감염의 위험이 있다.[10][11]

정맥 주사를 통해 오락용 약물을 주사할 때 넙다리정맥이 대상이 되는 경우가 비교적 흔하다.[12]

추가 이미지

편집

각주

편집
  1. Jonas Keiler; Marko Schulze; Host Claassen; Andreas Wree (2018). “Femoral vein diameter, valve and tributary topography in humans - a post mortem analysis”. 《Clinical Anatomy31 (7): 1065–1076. doi:10.1002/ca.23224. PMID 30240062. 
  2. Page 590 in: Reva Arnez Curry, Betty Bates Tempkin (2014). 《Sonography - E-Book: Introduction to 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ISBN 9780323292177. 
  3. Gitto, Lorenzo; Bonaccorso, Luigi; Serinelli, Serenella (2019). “Death due to severe blood loss following an accidental lesion to the femoral vessels”. 《Medico-Legal Journal》 87 (4): 196–201. doi:10.1177/0025817219875425. ISSN 0025-8172. PMID 31686595. 
  4. Mikael Häggström (2019). “Subsartorial Vessels as Replacement Name for Superficial Femoral Vessels”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Anatomy, Radiology and Surgery》: AV01–AV02. 
  5. Bundens WP, Bergan JJ, Halasz NA, Murray J, Drehobl M (October 1995).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A potentially lethal misnomer”. 《JAMA》 274 (16): 1296–8. doi:10.1001/jama.1995.03530160048032. PMID 7563535. 
  6. Hammond I (Nov 2003).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Radiology》 229 (2): 604; discussion 604–6. doi:10.1148/radiol.2292030418. PMID 14595157. 
  7. Kitchens CS (2011). “How I treat superficial venous thrombosis.”. 《Blood》 117 (1): 39–44. doi:10.1182/blood-2010-05-286690. PMID 20980677. 
  8. Thiagarajah R, Venkatanarasimha N, Freeman S (2011). “Use of the term "superficial femoral vein" in ultrasound.”. 《J Clin Ultrasound》 39 (1): 32–34. doi:10.1002/jcu.20747. PMID 20957733. 
  9. Beno, Suzanne; Nadel, Frances (2007년 1월 1일), Zaoutis, Lisa B.; Chiang, Vincent W., 편집., “Chapter 204 - Central Venous Access”, 《Comprehensive Pediatric Hospital Medicine》 (영어) (Philadelphia: Mosby), 1255–1257쪽, doi:10.1016/b978-032303004-5.50208-8, ISBN 978-0-323-03004-5, 202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0. Oram, John; Bodenham, Andrew (2009년 1월 1일), Treleaven, Jennifer; Barrett, A John, 편집., “CHAPTER 25 - Vascular acces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linical Practice》 (영어)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257–266쪽, doi:10.1016/b978-0-443-10147-2.50029-1, ISBN 978-0-443-10147-2, 202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1. Kern, Winfried V. (2017년 1월 1일), Cohen, Jonathan; Powderly, William G.; Opal, Steven M., 편집., “48 - Infections Associated with Intravascular Lines and Grafts”, 《Infectious Diseases (Fourth Edition)》 (영어) (Elsevier), 427–438.e3쪽, doi:10.1016/b978-0-7020-6285-8.00048-4, ISBN 978-0-7020-6285-8, 202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2. Maliphant J, Scott J (April 2005). “Use of the femoral vein ('groin injecting') by a sample of needle exchange clients in Bristol, UK”. 《Harm Reduct J》 2 (1): 6. doi:10.1186/1477-7517-2-6. PMC 1090606. PMID 15833116. 

외부 링크

편집